허브의 발암 억제 효과
녹황색 야채를 중심으로 발암 억제 물질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코우베 대학의 카나자와 조교수를 중심으로 하는 그룹에 의하여 허브에 관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습니다.
동그룹에서는 생선구이나 고기 등으로부터 하루 섭취하는 헤테로 사이클릭 아민 류의 양을 토리프 P2로 환산하여 약 20ng정도며 변이원성(돌연 변이를 일으키는 비로 발암의 방아쇠가 된다)을 허브가 어느 정도의 정도 억제하는가를 조사했었습니다.
토립 P2에 대하는 변이원성 억제 효과(허브의 경우)
허브 종류 |
억제 율 |
허브 종류 |
억제 율 |
이탈리안파슬리 |
△ |
챠빌 |
△ |
오데코롱 |
◎ |
딜 |
◎ |
오레가노 |
◎ |
파인애플민트 |
○ |
칼라이스플랜트 |
◎ |
파슬리 |
△ |
쿨 민트 |
◎ |
프렌치타라콘 |
◎ |
코리안다 |
○ |
플로렌스 펜넬 |
◎ |
콘 셀러드 |
△ |
페퍼민트 |
◎ |
생강민트 |
◎ |
벨가모트 |
◎ |
스위트바질 |
◎ |
라벤다 |
◎ |
스위트 마조람 |
◎ |
레몬그라스 |
◎ |
스피어 민트 |
◎ |
레몬밤 |
◎ |
셀비어 |
◎ |
레몬베르베나 |
◎ |
소렐 |
◎ |
로즈메리 |
◎ |
타임 |
◎ |
로만카모밀 |
◎ |
챠이브 |
△ |
로렐 |
◎ |
◎ 100∼70%억제 율 ○ 70∼40% 억제율 △ 40%이하
토립 P2에 대하는 변이원성 억제 효과
야채 |
억제 율 |
야채 |
억제 율 |
차조기 |
○ |
부추 |
△ |
땅드룹 |
△ |
당근 |
○ |
양배추 |
△ |
브로콜린 |
◎ |
우 엉 |
△ |
파드득나물 |
○ |
청대 완두 |
△ |
양하 |
△ |
산초나무 |
◎ |
메타레 |
◎ |
미나리 |
◎ |
레타스 |
△ |
죽순 |
△ |
실파 |
△ |
토마토 |
△ |
◎ 100∼70%, ○ 70∼40%,△ 40% 이하
야채 안에도 억제 효과가 높은 것도 있지만 허브 류에 ◎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처럼 허브 류에는 녹황색 야채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옛날부터 허브 류는 음식으로서의 이용뿐만 아니라 약으로도 많이 사용되었으며 녹황색 채소에 포함된 것과 다른 발암 억제 물질도 존재하는 것은 아닐까 하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환자를 위한 작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료 후에 무슨 일이 일어나나? (0) | 2008.08.15 |
---|---|
당신의 암 발병 위험을 낮출 세 가지 방법 (0) | 2008.08.15 |
암 예방의 가능성이 있는 식품 (0) | 2008.08.15 |
피로린 균의 항균 활동등 낫토 (0) | 2008.08.15 |
떫은 맛 성분이 암을 예방 (0) | 2008.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