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침에 일어나면 입이 텁텁하다. 어차피 아침 식사를 한 다음 이를 닦아야 하니, 기상 직후엔 입이 찝찝해도 굳이 양치질하지 않는 사람이 많다. 기상 직후 양치질, 정말 필요가 없을까? 음식을 먹기 전이라도 일어나자마자 이를 닦는 게 구강 건강에는 더 좋다. 충치의 원인인 플라그는 보통 밤사이 잠들었을 때 가장 많이 생성된다. 기상 직후에 양치질로 빨리 제거해주는 것이 좋다. 일어나자마자 이를 닦으면 세균을 죽이는 작용을 하는 타액을 분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기상 직후에 이를 닦았다고 해서 아침 식사 후에 양치질을 생략해도 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아침에 콩 한쪽이라도 먹었다면 반드시 이를 다시 닦아야 한다. 기상 직후에 이를 닦았지만, 아침 식사 후에 양치질할 시간이 없었다면 물로 입안을 헹구기라도 해야 한다. 입안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최대한 제거하기 위함이다. 다만, 탄산음료, 커피, 오렌지 주스처럼 산성을 띠는 식품을 아침에 먹었다면 30분 정도 기다렸다가 이를 닦는 게 좋다. 산성 성분은 치아 표면의 얇은 보호막을 부식시키므로 이때 칫솔질을 하면 치아 표면이 잘 손상된다. 경희대병원 소아치과 박재홍 교수팀이 콜라·사이다 같은 탄산음료에 치아를 한 시간 노출시킨 다음 양치질 시점에 따라 치아 표면의 변화를 살핀 결과, 곧바로 양치질했을 때보다 30분 후 양치질했을 때 법랑질 손상이 적었다. 산성으로 변한 입속 환경이 자정작용을 통해 본래의 알칼리성으로 돌아오는 데는 약 30분 정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양치질은 대한구강보건협회가 잇몸병 예방을 위해 권장하는 ‘표준잇몸양치법’대로 하는 게 바람직하다. 칫솔모를 잇몸선에 45도 각도로 갖다 댄 채 제자리에서 5~10회 미세한 진동을 줬다가, 손목을 돌리며 칫솔모를 바깥 방향으로 쓸어내리는 방법이다. 올바른 방법으로 양치질하면 이를 자주 닦는다고 치아가 닳진 않는다. 그러나 이를 힘주어 닦다가 잇몸에 자극이 가면 없던 잇몸병도 생길 수 있으니, 잇몸에 댄 칫솔모를 살살 진동시켜 치아와 잇몸 사이를 세정하는 게 좋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5/16/2025051602717.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날 더워지니, 몸에서 올라오는 퀴퀴한 냄새… ‘이곳’ 집중적으로 닦아야 (0) | 2025.05.21 |
---|---|
스크랩 박박 닦고 꼼꼼히 헹궈도 가려운 두피… ‘혈당’ 때문이라고? 왜? (0) | 2025.05.21 |
스크랩 가공식품 많이 먹더니… 2030 소화기 큰일, “복통 4주 이상 지속되면 병원 가야” (0) | 2025.05.20 |
스크랩 [소소한 건강 상식] 많이 먹고 잔 다음 날, 왜 더 배고플까? (0) | 2025.05.20 |
스크랩 “발가락 신발도 유행?” 이효리, 새로운 패션 아이템… 정형외과 의사 의견 물으니?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