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건강보험 실질 지출이 10년 새 28%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원인은 환자들의 잦은 진료보다는 병원들의 과잉 진료인 것으로 분석됐다. 21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 같은 내용의 ‘건강보험 지출 증가 요인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해 2009~2019년 건강보험 진료비 증가 흐름을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진료 횟수 증가(수량 요인) ▲진료 단가 상승(가격 요인) ▲고령화 등 인구 구조적 변화(인구 요인)로 증가 요인을 분류해 요인별 기여율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인당 건강보험 진료비가 물가 상승을 반영한 실질 기준으로 28.0% 증가했다. 요인별 기여율을 보면 가격 요인이 76.7%로 가장 높았고, '수량 요인'은 14.6%, 고령화와 같은 '인구 요인'은 8.6%였다. 의료비 상승의 주된 원인이 '진료비 증가'였다는 의미다. 가격 요인을 의료기관 종별로 다시 세분화해보면 동네 병원(의원급 의료기관)의 가격 요인이 진료비 증가의 24.9%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기록했다. 상급종합병원은 17.0%, 종합병원은 14.6%였다. 진료 형태별로 보면 입원서비스보다는 외래서비스에서 가격 요인의 상승 기여도가 컸다. 암 등 고비용 질환의 외래 중심 치료 전환, 진료 강도의 상승, 고가 서비스 이용 등이 배경으로 꼽힌다. 의료 이용 빈도 자체는 둔화 추세를 보였다. 입원서비스 이용은 2009년 대비 45.9% 증가했지만, 해마다 증가율은 점차 낮아졌다. 이용 빈도를 나타내는 수량 요인 기여도 역시 감소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고령화에 따른 진료비 지출 증가는 초고령층에서 확인되긴 했으나, 전반적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65~74세 ‘전기 고령층’에서는 오히려 진료 이용량이 줄면서 건강보험 지출 증가세가 둔화하는 경향까지 나타났다. 과거보다 건강 상태가 좋은 ‘젊은 노인’이 늘어나면서 ‘건강한 고령화’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85세 이상에서는 의료서비스 이용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연령대에서는 인구 요인이 전체 지출 증가의 50%, 수량 요인이 27%를 차지해 여전히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에 보고서는 건강보험 지출 관리를 위해서 불필요한 고비용 의료서비스 이용과 과잉 진료를 통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의료서비스 항목별로 설정된 가격을 지급하는 ‘행위별 수가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행위별 수가제에서는 의료서비스 공급자가 진료량 및 진료행위를 스스로 통제할 유인이 많지 않다”며 “의원급 의료기관이 예방·관리 중심의 일차 의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성과 기반 보상제도 등 대안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생애 말기 연명치료 이용 증가에 대한 관리, 건강한 고령화를 위한 예방 투자 확대, 건강보험 지출 요인 평가의 정례화 등 과제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4/21/2025042103010.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토피·비염·천식,공통 원인 찾았다 (0) | 2025.04.28 |
---|---|
스크랩 건강보험 누수 막아라… 진료비 거짓 청구 의료기관 명단 공표 (0) | 2025.04.28 |
스크랩 남들과 ‘세균 공유하는’ 공중화장실, 쓸 수밖에 없다면 “이렇게” (0) | 2025.04.23 |
스크랩 화장실에 보이는 ‘분홍빛’ 얼룩, 놔두면 치명적이라는데… 대체 뭘까? (0) | 2025.04.23 |
스크랩 ‘장애인 친화 건강검진 기관’ 늘고는 있지만… “개소는 0곳”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