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 내 석회화 병변을 음파로 제거하는 '관상동맥 내 쇠석술'이 삼성서울병원에서 지난 14일 국내 최초로 시행됐다. 관상동맥 내 쇄석술은 좁아진 관상동맥 혈관을 넓히는 스텐트를 삽입하기 전, 석회화 정도가 심할 때 특수 카테터를 이용한 음압 펄스를 방출해 병변을 분쇄하는 시술이다. 카테터에 달린 에너지 발생 장치에서 순간적으로 고압의 음파를 생성하고, 관상동맥 내 석회화 병변에 미세한 균열을 만들어 파쇄한다. 이 기술은 지난 202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후, 북미와 유럽 등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신의료기술로 지난 3월 31일 고시했다. FDA가 관상동맥 내 쇄석술을 승인한 근거가 됐던 미국심장학회지(JACC)에 발표된 연구(Disrupt CAD Ⅲ)에 따르면 시술 성공률은 92.4%에 달한다. 일본에서 진행한 후속 연구(Disrupt CAD Ⅳ)에서도 성공률 93.8%로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됐다. 기존 치료법인 죽종 절제술이나 고압 풍선 혈관성형술과 비교했을 때 관상동맥 내 쇠석술은 혈관 손상이나 깨진 석회화 조각이 다른 혈관을 막을 위험 등 부작용 발생 위험이 적으며, 시술의 복잡성을 줄이고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장점이 있다. 죽종 절제술은 꽉 막힌 조직을 분쇄·절제 등 기계적으로 제거해 혈관의 내경을 넓히고, 고압 풍선 혈관성형술은 카테터에 달린 풍선을 좁아진 혈관 부위에 삽입해 혈관을 확장시키는 치료술이다.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중재시술팀(권현철·최승혁·한주용·송영빈·양정훈·이주명·최기홍·이상윤 순환기내과 교수)은 기존의 시술방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운, 매우 심한 석회화 병변을 동반한 중증 협착 환자의 관상동맥 내 쇠석술 시술을 특이 합병증 없이 성공적으로 마쳤다. 권현철 교수는 “관상동맥 내 쇄석술을 새롭게 도입함으로써 환자들에게 더 다양한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환자 상태에 맞는 치료를 통해 더 많은 환자들이 튼튼한 심장혈관으로 더 오래 건강히 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4/15/2025041501173.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병원 치료 > 수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응급 수술, 강제 폐경까지”… 사강 ‘7cm 장기 파열’ 고백, 무슨 일? (0) | 2025.04.17 |
---|---|
스크랩 명지병원, 심방세동 최신 치료법 ‘펄스장절제술’ 성공 (0) | 2025.04.16 |
스크랩 배우 정영주, 6년 전 ‘자궁 적출’ 고백… 어떤 병 있었길래? (0) | 2025.04.15 |
스크랩 “12kg 한 번에 쏙 빠져” 강재준, 응급 수술로 홀쭉해진 근황… 무슨 일? (0) | 2025.04.15 |
스크랩 임신 방해하는 자궁내막증, 수술 필요한 때는?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