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한방상식

스크랩 ‘급똥’ 신호올 때, 장문혈 지압? ‘이곳’ 눌러도 어느 정도 참아진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4. 13.

노란색 점으로 표시된 부분이 각각 양구혈과 장문혈이다./클립아트코리아
대변을 참기 어려울 때 ‘장문혈’을 누르면 변의(便意)가 다소 줄어든다고 알려져 있다. 장문혈은 새끼손가락 쪽 손목에서 9cm 정도 떨어져 있는 혈인데, 실제로 장문혈 지압이 변의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을까?

고려대련요양병원 안용욱 한방과장은 “장문혈은 본래 설사에 쓰는 혈자리”라며 “장문혈을 지압하면 대장의 연동운동이 줄어들고 대변의 통과를 지연시켜 결장에 압력을 줄여주므로 배변 신호를 늦추는 효과가 나타난다”고 말했다. 엄지손가락으로 5초간 지그시 혈 자리를 눌렀다가 3초간 떼기를 10~15회 반복하면 된다. 그런 다음 손 방향을 바꿔 시행한다.

이외에도 변의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는 혈 자리가 하나 더 있다. 바로 ‘양구혈’이다. 양구혈은 무릎 바깥쪽에서 3~4cm 위에 있는 혈 자리다. 안용욱 한방과장은 “양구혈을 누르면 위장관 경련과 설사를 모두 멈출 수 있어 복통을 동반한 변의를 늦추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양구혈의 혈 자리 부근 살을 가볍게 잡고 비비면서 3분간 누르면 된다.

하지만 매번 혈 자리를 압박하며 상황을 모면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급똥’ 상황을 자주 겪는다면 평소 식습관을 돌아봐야 한다. 보통 많은 양의 묽은 변이 직장(대장 끝과 항문을 연결하는 창자)에 차 있을 때 나타나는데, 매운 음식, 기름진 음식, 찬 음식이 주로 유발한다. 우유나 유제품에 든 유당도 설사를 지속시킬 수 있어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좋다.

식이섬유는 설사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많이 섭취하면 오히려 역효과다. 사과, 고구마, 옥수수 등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된 식품은 장 점막을 자극해 장의 운동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장 속 세균이 발효량을 늘려 소화불량과 설사가 더 심해질 수 있다. 식습관을 고쳐도 대변을 잘 참지 못한다면 병원에 방문해 치료받을 것을 권한다. 이런 경우 과민성대장증후군,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바이러스성 장염 등의 장 질환일 가능성이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4/09/2025040902910.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