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나거나 심신이 힘든 상황에서 욕으로 감정을 표출하는 경우가 있다. 욕을 하면 나도 모르게 속이 시원하고 스트레스가 풀리는 것 같다. 실제로도 그럴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욕은 통증을 줄이는 데 어느 정도 효과를 낸다. 연세하나병원 신경외과 정윤교 원장은 “우리 몸은 통증을 스트레스로 인식한다”며 “이때 욕을 해 통쾌한 기분이 들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분비량이 줄면서 통증이 완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영국 킬대학 연구팀은 실험 대상을 욕을 하도록 한 그룹과 하지 않도록 한 그룹으로 나눠 얼음물의 고통을 견디도록 했다. 그 결과, 욕을 한 그룹이 하지 않은 그룹보다 45초 고통을 더 참았다. 연구팀은 욕을 하면 진통 효과가 있는 신경전달물질인 엔도르핀이 분비되기 때문이라고 봤다. 하지만 욕이 좋은 진통제는 아니다. 욕이 습관화되면 처음 느꼈던 짧고 강력한 통쾌함을 느끼기 힘들기 때문이다. 점점 심한 욕을 하다 보면 분노가 생기고, 결국 다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분비 증가로 이어진다. 통증을 줄이고 싶다면, 욕 대신 크게 웃어보자. 정윤교 원장은 “웃음은 엔도르핀을 분비할 뿐 아니라, 진통 효과가 있는 또 다른 신경전달물질인 엔케팔린, 옥시토신 등의 분비를 증가시킨다”고 말했다. 웃으면 우리 몸의 약 231가지 근육이 움직이는데, 근육을 움직이면 세로토닌(행복 호르몬) 등 좋은 호르몬이 분비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4/09/2025040902893.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환자를 위한 작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미랑] 야생화처럼 피어나는 마음 (0) | 2025.04.17 |
---|---|
스크랩 [아미랑] 몸과 마음 데우는 따뜻한 ‘차 한 잔’의 힘 (0) | 2025.04.13 |
스크랩 [스크랩] 암 치료의 현명한 선택 (0) | 2025.04.09 |
스크랩 ‘증상 호전’에서 ‘완치’로… ‘세포·유전자치료제’ 주목 (0) | 2025.04.08 |
스크랩 "환자 임종 직전"… 의사가 들었던 가장 '가슴 아픈' 말은?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