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외래진료 이용 횟수가 18회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국민의 평균 외래진료 이용 횟수의 약 3배에 해당한다. 1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기준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 보건의료 질 통계 보고서’를 냈다. 2023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국민 1명이 병의원을 찾아 의사(한의사 포함) 진료를 받은 횟수는 18.0회로, 전년(17.5회)보다 2.9% 늘었다. 이는 한 달 평균 1.5회에 해당한다. 최근 5년간 1인당 외래진료 횟수가 줄어든 건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유행한 2020년(전년 대비 14.5% 감소)뿐이다. 2023년 1인당 외래진료 횟수는 비교 가능한 OECD 회원국 평균(2022년 6.4회)의 2.8배에 달한다. 외래진료를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은 17.4회, 여성은 21.9회 이용했다. 연령별로 봤을 때 20~24세(8.9회)만 2023년 한 해 외래진료 횟수가 한 자릿수대였다. 외래진료 횟수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많아졌는데 75~79세가 40.9회를 기록했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를 기준으로 보면 관절염, 골다공증 등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약 1억9383만5000회)에 따른 외래진료 횟수가 가장 많았다. 이 질환으로 국민 1인당 1년에 3.7회 외래진료를 받았다. 진료실을 찾아가는 횟수는 증가했지만, 환자의 만족도는 다소 하락했다. 16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물었을 때 의사의 진료 시간이 충분하다고 느낀 환자 비율은 2023년 83.4%에서 지난해 82.5%로 하락했다. 의사의 설명이 이해하기 쉽다고 경험한 환자 비율도 같은 기간 92.2%에서 91.8%로 소폭 내렸다. 환자로서 궁금하거나 걱정스러운 점을 말할 기회를 얻은 경험의 비율은 91.0%에서 88.2%로 하락했고, 의사로부터 예의와 존중을 받으며 치료받은 경험의 비율도 95.5%에서 93.4%로 떨어졌다. 의료 접근성 역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 문제 때문에 진료를 취소한 환자 비율은 1.5%에서 2.7%로 올랐다. 특히 소득 수준이 낮은 1분위 그룹에서 값이 비싸 진료를 취소한 비율은 2023년 3.1%에서 지난해 6.0%로 올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진은 “의료 접근성 측면에서 불평등이 심화하지 않도록 격차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4/01/2025040102963.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오래오래 아껴 써야지” 비싼 화장품 냉장 보관 흔한데… 오히려 독 (0) | 2025.04.06 |
---|---|
스크랩 신약 개발도 AI로? 대웅제약·JW중외제약, 연구 ‘잰걸음’ (0) | 2025.04.04 |
스크랩 국내 30대 여성 두 명, '이곳'에 필러 맞고 사망… "혈관 막을 위험 커, 치명적" (0) | 2025.04.04 |
스크랩 SNS ‘이렇게’ 사용하면, 끊는 것과 동일한 효과… 심리학 교수가 ‘강추’한 방법은? (0) | 2025.04.03 |
스크랩 ‘디지털 상담소’ 정도인 줄 알았는데… 생성형 AI, 정신질환 증상 개선했다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