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노인 3분의 1이 알츠하이머병 등 치매 원인 질환을 앓다가 사망한다. 젊을 때 식습관을 조금만 바꿔도 노년기 치매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올리브유를 꾸준히 먹는 것이 그중 하나다. ◇올리브유 ‘반 큰술’만 매일 먹어도 치매 위험 낮아져 올리브유는 혈중 나쁜 콜레스테롤(LDL) 수치를 낮추는 단일불포화지방산 비타민E, 폴리페놀 등 항산화 물질이 다량 들었다. 이에 심혈관 질환과 치매 원인 질환 예방에 이롭다. 올리브유는 크게 올리브 열매를 눌러 짜낸 기름인 ‘버진 올리브유’, 버진 올리브유와 정제 올리브유를 섞은 ‘퓨어 올리브유’로 나뉜다. 하버드 공중보건대 연구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떤 종류의 올리브유든 매일 반 큰술 이상 섭취하면 치매를 앓다가 사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연구팀은 미국 성인 9만 2383명을 28년간 추적 관찰한 코호트 연구 결과를 분석에 활용했다. 참여자들의 올리브유 섭취량은 4년마다 시행한 식습관 조사 결과로 측정했다. 추적 기간에 사망한 사람 중, 치매를 앓던 이는 4751명이었다. 연구팀이 올리브유 섭취량과 치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니, 올리브유를 하루 7g 이상 먹은 사람은 이보다 적게 먹은 사람보다 치매로 사망할 위험이 28% 낮았다. 올리브유 한 큰술이 약 13.5g이므로 7g은 약 반 큰술에 해당한다. 매일 섭취하는 마가린 또는 마요네즈 5g을 같은 양의 올리브유로 대체하면 치매로 사망할 위험이 8~14%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올리브유를 선택하는 것이 심장 건강뿐 아니라 인지 건강을 위해서도 권장된다”고 했다. ◇버진 올리브유 고온으로 가열하면 발암 물질… 주의 이처럼 몸에 좋은 올리브유라도, 조리법에 따라서는 발암 물질이 생길 수 있다. 퓨어 올리브유는 180~240도 고열에서 튀김 요리를 하는 데 쓸 수 있다. 그러나 버진 올리브유는 고열 조리에 쓰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 보통의 식용유는 발연점(기름을 가열했을 때 연기가 나기 시작하는 온도)가 200도보다 높지만, 버진 올리브유는 약 170도로 비교적 낮다. 기름을 발연점 이상 온도로 가열하면 벤조피렌이라는 발암 물질이나 트랜스지방이 생길 수 있다. 기름에 든 항산화 물질 등 유익 성분도 타 버린다. 튀김이나 부침 요리를 할 땐 일반 식용유나 퓨어 올리브유를 쓰는 것이 좋다. 버진 올리브유는 원래 상태 그대로 샐러드에 뿌려 먹는 것이 적합하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3/26/2025032603295.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암치유에 도움 > 식이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살 쏙 빠진다” 윤진이 다이어트 비법, ‘이것’만 먹어도 성공?! (0) | 2025.04.06 |
---|---|
스크랩 ‘탄·단·지’ 비율 따져 먹기 어렵나요? ‘손’ 활용하면 간단! (0) | 2025.04.06 |
스크랩 마라톤 뛰는 80대 노인, 건강 비결 ‘이것’이라고 밝혀… “아침에 꼭 먹는다” (0) | 2025.03.28 |
스크랩 ‘건강 샌드위치’ 공개한 류이서… ‘5가지 재료’ 효과는? (0) | 2025.03.28 |
스크랩 "아침은 '이 시간' 전에 드세요"… 그래야 혈당 조절 효과, 美 영양사 추천한 시간은?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