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공백으로 국립대병원들의 적자 규모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3000억원이 넘는 요양급여를 미리 지급하는 등 병원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조치에 나섰다. 지난 1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국립대병원 10곳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국립대병원 10곳의 적자는 5639억7100만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의정갈등 이전인 2023년 2870억4300만원보다 2배가량 늘어난 규모다. 지난해 적자 규모는 서울대병원이 1089억5000만원으로 가장 컸다. 서울대병원은 2023년 분당서울대병원 실적에 힘입어 국립대병원 10곳 중 유일하게 21억5100만원의 흑자를 냈으나 의정갈등 이후인 작년 적자로 돌아섰다. 서울대병원 본원은 2023년 적자 4억1300만원에 이어 지난해에는 1106억500만원의 적자를 냈다. 같은 기간 분원인 분당서울대병원은 흑자를 유지했으나 그 규모는 25억6400만원에서 16억5400만원으로 줄었다. 서울대병원 다음으로는 경북대병원의 적자가 1039억7천500만원으로 많았다. 이어 전남대병원(677억4700만원), 부산대병원(656억4200만원), 전북대병원(490억 9000만원), 충북대병원(418억6300만원), 충남대병원(334억9600만원), 강원대병원(314억8900만원), 제주대병원(311억4600만원), 경상국립대병원(305억7400만원) 순이었다. 일부 지방국립대병원은 의료인력 수급의 어려움까지 더해져 진료과나 병동을 통폐합하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수도권 대학병원들이 사직 전공의들로 인해 발생한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낸 채용 공고에 지방국립대병원 전문의들이 지원하면서다. 실제로 지난해 상반기에만 국립대병원 교수 223명이 사직했다. 이와 관련 복지부는 요양급여를 미리 지급하는 등 국립대병원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조치에 나섰다는 입장이다. 복지부는 최근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국립대병원의 필수진료 체계와 안정적 경영 유지를 위해 재정 지원과 건강보험상 조치들을 시행했다”며 “예비비를 편성하고 중증·응급 진료 관련 수가도 인상했다”고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의료인력 신규 확충, 야간·주말 진료 연장 등을 지원하고자 2차에 걸쳐 예비비 2029억원이 편성됐다. 국립대병원을 대상으로 3365억원 규모의 요양급여 선지급도 실시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국립대병원의 육성 정책도 추진 중”이라며 “거점 국립대의 의대 전임교원 1000명 확충을 올해부터 시작해 우수한 필수의료 인력 확보를 지원 중”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21/2025022102666.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병원 치료 > 국내외 암관련 시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서울아산병원, 중증 외국인 환자 위한 AI 통합진료플랫폼 구축 (0) | 2025.02.23 |
---|---|
스크랩 고려대 구로병원 암병원, 10주년 기념 다학제 심포지엄 개최 (0) | 2025.02.20 |
스크랩 부산대병원, AI 기반 차세대 디지털 PET-CT 도입 (0) | 2025.02.18 |
스크랩 전국에 하나뿐인 ‘중증 외상 수련센터’, 서울시 지원으로 운영재개 기대 (0) | 2025.02.11 |
스크랩 중앙대병원, ‘중증 및 응급환자’ 협력 병원 네트워크 강화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