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통·설사 등 장이 안 좋을 때 장내 세균 환경을 변화시킨다고 알려진 '유산균'을 섭취하면, 반응은 두 가지로 나뉜다. 정말 증상이 완화하거나, 오히려 더 심해지거나다. 이때 증상이 심해졌다면 유산균 섭취를 멈춰야 한다. 머리가 멍해지는 브레인 포그, 심하면 패혈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유산균은 당류를 분해해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총을 말하는데, 건강한 사람이 복용하면 장 유해균 성장이 억제된다. 장내 환경이 개선돼 배변 활동도 원활해진다. 유산균 중에서도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GG(LGG)는 항생제로 인한 설사를 완화할 수 있다고 효능이 입증되기도 했다. 질환이 있는 환자라면 유산균 섭취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특히 ▲크론병·장누수증후군 환자 ▲암 환자·면역억제제 복용자 ▲소장세균과다증식(SIBO) 환자는 유산균을 삼가는 게 좋다. 크론병 환자와 장누수증후군 환자는 장내 벽을 덮고 있는 장막이 건강하지 않다. 느슨하거나 틈이 있어, 이 사이로 균이 침투해 혈관 등 다른 기관까지 이동할 수 있다. 혈액 속에 균이 침투해 전신을 순환하는 균혈증으로 염증반응이 나타나면서 주요 장기에 장애를 유발하는 패혈증 등까지 이어질 수 있다. 암 환자·면역억제제 복용자도 항암치료나 면역억제제 복용 등으로 면역력이 떨어져 있으므로 유산균을 먹지 않는 것이 낫다. 유산균도 균이므로,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에게는 몸속 유산균이 과도해지면 일반 세균처럼 작용해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약물 주입을 위해 관(중심정맥관 등)을 삽입한 사람이라면 발병 위험이 더 크다. 소장세균과다증식 환자도 유산균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소장은 움직임이 많고, 소화작용이 활발해 균이 생존하기 어려워, 대부분 장내 세균은 대장에 거주한다. 다만, 대장에 세균이 많거나, 소장의 움직임이 줄어들면 소장 속에도 세균이 과다하게 증식하는 소장세균과다증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유산균까지 추가로 섭취하면 유산균이 대장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소장에 그대로 머무른 채 다량의 가스 대사물을 유발하게 된다. 이는 장트러블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소장 내 세균이 너무 많으면 장내세균이 생성한 D-유산의 혈중 농도가 높아지는데, 이는 브레인 포그 증상을 유발한다. 실제로 브레인 포그 환자 절반 가까이가 소장 내 과잉 증식을 앓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들 전원이 유산균 보조제를 장기간 섭취한 것으로 확인됐다.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 중 유산균을 섭취한 지 2주 정도 지났는데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거나 악화했다면, 역시 섭취를 중단하고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안전하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은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설사·변비·복통·복부팽만 등 만성적인 장 증상으로 전신 증상까지 동반하는 복합적인 질환을 말한다.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주성 교수 연구팀이 130억 마리 유산균을 하루 세 번 8주간 복용하도록 했더니, 증상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다면, 드물게 염증성 질환 악화 등 부작용이 나타났을 수 있다. 유산균 복용 초기에 일시적으로 무른 변이나 평소보다 딱딱한 변이 나오는 정도라면 경과를 좀 더 지켜봐도 좋다. 한편, 유산균을 섭취할 때 효과를 높이고 싶다면 과채 등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먹거나 유산균의 먹이가 되는 '프리바이오틱스'를 함께 섭취하는 게 좋다. 프리바이오틱스로는 당근·콩·버섯·샐러리·양배추·고구마·미역 등에 풍부하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7/2025021701527.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암치유에 도움 >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입 심심한데”… 간식 대신 ‘젤리형 영양제’ 먹어도 문제 없을까? (0) | 2025.02.17 |
---|---|
스크랩 “30대와 붙어도 내가 이겨”… 美 60대 남성, 매일 ‘이것’ 50개씩 먹기 때문? (0) | 2025.02.17 |
스크랩 발기에 도움된다고?! 아르기닌, ‘이 바이러스’ 보유자는 섭취 주의 (0) | 2025.02.12 |
스크랩 ‘이 영양소’ 매일 3년간 섭취했더니… 노화 속도 뚜렷하게 느려졌다 (0) | 2025.02.10 |
스크랩 매일 챙겨 먹는 영양제, '이 시간'에 먹으면 효과 더 크다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