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립아트코리아
명절에 특히 나이 든 부모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데, 최근에는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초로기 치매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여서 비교적 부모님이 젊더라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9월 21일, 세계보건기구가 정한 '세계 치매의 날'을 앞두고, 치매에 대해 알아두면 좋은 것들을 소개한다.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치매는 삶의 질을 훼손하고 가족에게도 경제적, 정신적으로 고통을 준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대한민국 치매 현황 2023’에 따르면 2024년 추정 치매 환자 수는 약 100만 명이다.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치매 환자도 늘어 2040년에는 약 226만 명, 2060년에는 약 3039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인천힘찬종합병원 신경과 박정훈 센터장은 “치매는 초기에 건망증과 증상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이 잘 인지하지 못하고, 부정적 인식 때문에 증상을 외면하고 회피하다가 병을 키우는 경우도 있다”며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이는 만큼 부모님은 물론 가족의 치매 위험 요인을 잘 살피고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치매는 뇌의 손상으로 언어, 기억, 학습, 판단 등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감소해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대표적으로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 등이 있으며 젊은 연령대의 경우 교통사고 등으로 두부외상을 입은 후 초로성 치매가 생기기도 한다. 치매의 가장 흔한 증상이 기억력 저하다 보니 자칫 노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여길 수 있다. 하지만 치매는 기억력 외에도 언어나 판단 능력, 계산능력, 인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기분과 성격, 행동에도 영향을 준다. 특히 노년층 치매 환자의 경우 운동 기능이 저하돼 낙상 등 위험에 노출되기 쉽고 이들의 실종 사고도 해마다 늘고 있는 추세다. 또 비교적 젊은 나이에 겪는 초로기 치매의 경우 생산 활동을 수행하는 연령대에 나타나기 때문에 치매 때문에 일상 생활이 힘들어지면 피부양자가 경제적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 또 노년기 치매에 비해 사회적 안전망이 미비하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나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더 클 수 있다. 치매는 완치를 위한 약이 아직 없어서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초기 증상이 미미해서 알아보기 쉽지 않지만 가족이나 주변인이 관심을 가지고 일상생활을 자세히 살피면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기억력이나 계산능력이 떨어졌는지 살펴봐야 한다. 또 어머니가 만든 음식 맛이 갑자기 변했다면 치매로 후각과 미각이 떨어져 음식의 간을 제대로 맞추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집안일이 서툴러지거나 낮잠이 많아지는 경우, 예전과 달리 참을성이 없어지고 화를 잘 내며 다른 사람의 말을 들으려 하지 않고 의심이 많아지는 것도 초기 치매를 의심할 수 있다. 치매가 의심된다면 가까운 병원이나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 선별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만약 경도인지장애나 치매로 판정된다면 환자 개인의 치료와는 별도로 가족 간 적극적인 소통과 지지도 꼭 필요하다. 치매예방을 위해서는 위험인자를 피하거나 제거해야 한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치매 위험인자로는 뇌 손상이 2.4배로 가장 높고, 음주가 2.2배, 운동 부족 1.8배, 흡연 1.6배, 비만 1.6배 등 순이다. 따라서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은 기본이며 40대 이후로는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자주 확인하고, 위험인자가 있다면 뇌혈관 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사한다. 또 중앙치매센터의 ‘치매체크’ 앱을 활용해 가족과 함께 자가 진단을 해보는 것도 좋다. 명절을 맞아 온 가족이 함께 게임을 하면 인지 기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카드 맞추기, 숨은 그림 찾기, 단어 연결 퀴즈 등은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보드게임, 퍼즐 맞추기, 블록 쌓기 등은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낱말 맞추기 게임이나 주어진 주제나 단어를 이용한 이야기 만들기 게임 등은 언어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밖에도 가족과 산책이나 걷기 등 신체활동을 함께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박정훈 센터장은 “치매 환자의 경우 치매 증상을 부정하거나 혼자 해결하려 하고, 다른 사회적 관계를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다”며 “치료의 기회를 놓치고 사회적인 고립감으로 더 힘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숨기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서 가족이나 주변인과 함께 극복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9/12/2024091201790.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약 허가 수수료 4억1000만 원으로 4500% 인상… 식약처, 이유 들어보니 (0) | 2024.09.18 |
---|---|
스크랩 기상청, 이상 기후 탓 117년 만에 ‘사계절’ 재조정한다… 어떻게? (0) | 2024.09.18 |
스크랩 가을 모기, 나만 물리는 것 같다면… ‘이 특징’ 때문? (0) | 2024.09.16 |
스크랩 배우자 있고vs없고… 더 ‘건강하게 늙는’ 사람은? (0) | 2024.09.16 |
스크랩 한 번만 써도 축축해지는 수건, 얼마나 자주 빨아야 할까? (0) | 2024.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