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러닝, 등산, 오래 걷기 등 운동을 할 때마다 유독 발목이 자주 아프다면, 손가락으로 복숭아뼈에서 발바닥 쪽으로 대각선을 그리며 짚어보자. 혹시 또 다른 복숭아뼈가 짚히진 않는가? 이 뼈는 우리 몸에 필요하지 않아 일명 '액세서리 뼈'라고 불리는 부주상골로, 전체 인구의 10~15%에게 발견된다. 이 뼈가 있는 사람은 자주 발에 통증, 부종이 나타나는 '부주상골증후군'을 앓을 수 있다. 지속해서 통증이 나타나는데 방치했다간 후천적 평발이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부주상골은 발목과 엄지발가락을 이어주는 뼈인 주상골 옆에 있는 뼈로, 성장 중 주상골과 결합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보통 선천적으로 발생하는데, 10세 전후 나타나 20세쯤에 형성이 멈춘다. 발목 부상으로 부주상골 결합 부위가 분리되면서 후천적으로 생기기도 한다.
부주상골이 있어도 크게 통증이 없다면 치료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부주상골이 있는 사람은 ▲달리기 등 반복적으로 발 안쪽을 누르는 신체 활동을 하거나 ▲하이힐을 신었을 때 부주상골이 없는 사람보다 부기와 통증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 불안정한 뼈로 인해 주위 조직이 쉽게 자극받기 때문이다. 발목염좌나 골절 등 외상이 생겼을 태도 통증이 오래 간다. 주상골과 부주상골 결합 부위 분리가 심해지거나, 부주상골 압박이 심해지기 때문이다. 체중이 불어도 발 안쪽에 부하가 가해지면서 발목 통증이 생길 수 있다.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에서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활동량이 많은 12~14세 성장기 청소년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부주상골로 인한 통증이 오래가면 치료해야 한다. 부주상골에 반복적인 자극이 가해지면 주변 인대와 충돌해 염증이 생길 수 있고, 후경골건 기능장애나 후천성 평발 등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후경골건은 발바닥 아치를 유지하고, 발목의 정상적인 굴곡을 돕는 힘줄이다. 이 힘줄은 주상골에 붙어있어야 하는데, 부주상골이 발달한 사람은 간혹 주상골이 아닌 부주상골에 붙어있을 수 있다. 힘줄이 제대로 힘을 쓰지 못하면서 각종 질환으로 이어진다.
깁스로 해당부위를 보호하거나 발바닥 아치를 받쳐주는 깔창으로 보존적 치료를 했을 때 증상이 완화된다면 그 이상의 치료를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에 호전이 없다면, 부주상골을 제거하거나 주상골과 부주상골을 합치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봐야 한다.
부주상골./사진=헬스조선 DB
부주상골이 특히 튀어나오고 통증이 있다면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 초기에는 일정 기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거나 발바닥 아치를 받쳐주는 깔창을 이용하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계속해서 발목 통증이 있거나 이미 후천성 평발이 발생했다면 부주상골을 제거하거나 주상골과 부주상골을 합치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봐야 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9/10/2024091002363.html
'질병 > 관절염, 오십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의학칼럼] 추석 명절 부모님 등 굽어졌다면… 노인성 척추 후만증 의심 (0) | 2024.09.16 |
---|---|
스크랩 ‘이 동작’ 안 되면, 이미 중기 이상 허리디스크일 확률 높아 (0) | 2024.09.15 |
스크랩 회전근개 손상에 ‘콜라겐 주사 치료’ 효과 있을까? (0) | 2024.09.14 |
스크랩 아직 젊은데 무릎 아프다… 연골 말랑해지는 ‘이 병’ 확인을 (0) | 2024.09.12 |
스크랩 [의학칼럼] 퇴행성 무릎 관절염, 추석 연휴 특히 주의… "부모님 무릎 건강 살펴야" (0) | 2024.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