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식품,차,음료의 효능

스크랩 곰팡이 작게 폈는데, 그 부분만 도려내고 먹어도 될까?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4. 8. 14.

음식에 곰팡이가 부분적으로 피었다고 해도 먹으면 안 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여름에는 덥고 습한 날씨 때문에, 음식에 곰팡이가 잘 핀다. 음식 전체 부위에 곰팡이가 핀 게 아니라 모서리나 특정 부분에만 곰팡이가 필 때가 있다. 그렇다면 이 부분만 떼서 먹으면 건강에 문제가 없을까?

곰팡이는 공기 중 분산돼 날아다니다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발견되면 그곳에 안착해 곰팡이실을 뻗어나가며 생존한다. 주로 탄수화물 등 영양분이 많은 식품에 기생해 번식한다. 곰팡이는 수천 종이 있으며 된장, 간장, 막걸리 등 음식에 사용하는 곰팡이부터 아플라톡신(aflatoxin)이라고 불리는 발암물질을 함유해 신체에 해를 입힐 수 있는 곰팡이까지 다양하다.

음식물 섭취 전 곰팡이나 이물을 발견했다면 섭취를 삼가며 즉시 폐기해야 한다. 곰팡이가 부분만 핀 경우도 마찬가지다. 곰팡이가 없는 부분만 잘라 먹을 때가 있는데, 눈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에도 곰팡이가 퍼져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먹지 말아야 한다. 만약 음식물 섭취 후 구토, 구역감, 설사, 복통, 현기증, 두통 등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의료기관에 내원해 진료받아야 한다.

특히 여름철에는 가공돼 나온 식품이라도 보관하는 과정에서 용기가 파손되는 등의 이유로 외부 공기가 유입돼 변질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은 적정량만 구입해 유통기한 안에 소비하며 제품에 표시된 보관 방법을 준수한다. 여러 번 나누어 먹는 제품의 경우 남은 음식을 밀폐 용기에 덜어 단단히 밀봉해야 하며 제품 포장지에 표시된 보관 방법에 따라 보관한다.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한 곳이나 냉장, 냉동실 등에서 저온 보관하는 것이 좋다. 곰팡이의 경우 낮은 온도에서도 번식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것이 좋다.

개봉한 식품은 3∼4일 내 섭취하는 게 안전하다. 탄수화물 함량이 높거나 단맛이 강한 음식은 가급적 개봉 후 빠르게 섭취하고, 택배로 식품을 구입했다면 포장 상자 틈새 등에 벌레가 서식하다가 제품으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택배를 받는 즉시 제품을 빼서 분리해야 한다. 끓여서 먹으면 괜찮을 거란 생각도 버린다. 음식을 가열하면 세균이나 진균, 바이러스는 죽을지 모르지만, 독소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세균이 대사 과정에서 경쟁자를 제거하고 생존 우위를 확보하려고 만들어낸 독소는 사람에게 독소형 식중독을 일으킨다. 세균의 독소는 가열해도 사라지지 않는데 포도상구균의 독소는 100도에서 30분 이상 가열해도 남는다고 알려져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8/07/2024080702317.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