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치료와 더불어, 주기적인 상담 등 의료진이 흡연자 행동에 적절하게 개입하는 게 금연에 더 효과적이라는 지침이 나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금연 임상치료 지침이 만들어져 최근 회원국에 배포됐다. 지침은 일반 궐련형 담배뿐 아니라 액상형 전자담배 등 모든 담배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다. WHO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16% 정도인 12억5000만명 정도가 담배를 피우고 이 가운데 60%가 넘는 7억5000만명이 금연을 원하는 것으로 WHO는 파악했다. 그러나 전세계 흡연자의 금연 성공률은 5% 안팎이다. WHO는 기존 약물 치료에 행동 중재를 결합한 방식을 새로운 금연 치료법으로 권고했다. 행동 중재는 전문가가 흡연자의 행동에 개입하는 방법이다. 금연 치료를 원하는 흡연자가 전화 등 비대면 방식을 포함해 30초 내지 3분 사이의 금연 상담을 받으며 자신의 습관을 주기적으로 점검해보는 것도 이에 속한다. 금연 치료 대상자끼리 그룹 상담을 받거나 더 집중적인 개별 상담을 받도록 할 수도 있다.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나 스마트폰 앱 등을 활용해 흡연자가 자기 행동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행동 중재에 포함된다. 약물 치료는 흡연 욕구를 줄여주는 금연 치료제를 활용하는 것이다. 의사의 처방을 받아 사용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 가운데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흡연 욕구를 줄여주는 부프로피온과 니코틴 수용체에 결합해 흡연 욕구와 금단 증상을 감소시키는 바레니클린 등이 있다. 이 밖에 니코틴 패치나 금연 껌 등을 활용하는 니코틴 대체요법(NRT) 역시 효과적일 수 있다고 WHO는 설명했다. WHO는 “약물 치료와 행동 중재를 결합할 때 금연 성공률이 많이 증가한다”면서 “중·저소득 국가에서도 금연 치료의 접근성을 높이려면 이런 치료법들을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세계 7억5000만명이 금연을 원하지만 이들 중 70%는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지침은 담배를 끊고 질병 부담을 덜어내기 위한 도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흡연자를 위한 다양한 맞춤형 금연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2004년 10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시작해 2005년부턴 전국 보건소에서 무료 금연상담서비스를 시작했다. 2008년 이후 2023년까지 약 560만 명에게 보건소 금연클리닉 상담 서비스를 제공했고, 그 중 약 230만명이 6개월 금연에 성공해 41.7%의 성공률을 기록했다. 한 대학병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혼자서 금연에 시도했을 때 6개월 금연 성공률은 4%에 그친다. 상담 등의 도움으로 성공률이 10배나 뛴 것이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지역사회의 모든 흡연자, 청소년과 외국인을 포함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주민등록상 지역 주민이 아니더라도 접근성과 편의를 고려해 금연 실천을 돕는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에서는 6개월간 9차례의 상담 서비스와 함께 다양한 금연 행동강화물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흡연량 또는 니코틴 의존도 검사 결과에 따라 니코틴 패치, 니코틴 껌, 니코틴 사탕 등의 니코틴 보조제를 지급받을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7/05/2024070502127.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부 “미복귀 전공의 1만명, 불이익 없다” (0) | 2024.07.11 |
---|---|
스크랩 우리 집 유독 더운 이유가 ‘지붕’에 있다?! (0) | 2024.07.11 |
스크랩 화장실에도 여름이 왔다! 악취 없애려면 배관에 ‘이것’ 뿌려보세요 (0) | 2024.07.10 |
스크랩 습해지니 수건도 꿉꿉… 뽀송한 수건 쓰고 싶다면 '이렇게' (0) | 2024.07.10 |
스크랩 아이들 많이 하는데… ‘인형뽑기’ 기계서 전자파 가장 많이 발생 (0) | 2024.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