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식품,차,음료의 효능

스크랩 밤잠 지장 안 받으려면… "되도록 ○시 이후, 커피 안돼요"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4. 6. 18.

 
커피를 마시고도 밤 수면에 방해가 안 되려면 최소 오후 2시를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밤잠에 방해가 될까봐 오후에 커피를 안 마시는 사람들이 있다. 카페인의 각성 효과 때문인데, 실제 스타벅스 조사에 따르면 오후 2시 이후에는 일반 아메리카노(35%)보다 디카페인 아메리카노(51%)를 찾는 사람이 더 많다. 실제 밤잠에 지장받지 않으려면 오후 2시부터는 커피를 마시지 않는 게 좋다.

수면의학 전문가이자 임상심리학자인 마이클 브루스 박사는 "밤에 잠을 제대로 자려면 최소 오후 2시 전까지만 커피를 마시는 걸 권장한다"고 했다. 이어 그는 "다른 수면 전문가들 역시 양질의 수면을 위해 취침 전 최소 8시간을 두고 카페인을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며 "다만 개인마다 카페인 민감도는 다를 수 있어 카페인 섭취 시간을 조금씩은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커피가 다량 함유한 카페인은 졸음을 유발하는 '아데노신'의 작용을 방해한다. 이 아데노신은 멜라토닌과 함께 수면 리듬을 관장하는데, 이때 카페인이 아데노신 작용을 억제해 졸음을 쫓아낸다. 카페인은 첫 모금을 마시고 난 10분 뒤부터 대사되기 시작해 각성 효과가 나타난다. 섭취 45분 후에는 카페인의 99%가 몸속에 흡수된다. 이렇게 흡수된 카페인은 각성 효과가 최고조에 달해 집중력과 기억력이 극대화되고 심박수가 증가한다.

카페인이 대사되는데 걸리는 시간과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대부분의 경우 섭취 후 두 시간 이상이 지나면 각성 효과가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하지만 카페인은 최대 12시간 동안 체내에 남아있을 수 있어 평소 카페인 대사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은 오후에 커피를 섭취하면 수면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한편, 일반 성인의 하루 커피 권장량은 네 잔(카페인 400mg) 이하다. 임산부는 두 잔(카페인 200mg) 이하, 청소년은 한 잔(카페인 100mg) 이하로 섭취하는 게 좋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6/14/2024061402009.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