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는 12시간 이상 붙이지 않는 게 좋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갑자기 근육통이나 염증 등이 생겼을 때 파스를 붙이는 경우가 많다. 파스에는 통증과 부기를 완화하는 성분이 함유돼 있어, 해당 부위에 붙이면 빠른 증상 완화를 돕는다. 하지만 쉽게 쓰이는 파스여도 잘못 사용하면 알레르기나 피부염 등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올바른 파스 사용법을 알아본다. ◇부기 완화엔 쿨파스, 통증에는 핫파스 파스의 종류는 크게 쿨파스와 핫파스가 있다. 증상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는 게 좋다. 쿨파스는 멘톨 성분이 들어 있어 피부 열을 식히고 혈관을 수축시켜 부기를 줄인다. 골절상, 타박상 등으로 염증이 생겼거나 부기가 올라올 때 쓰면 도움이 된다. 반면 고추엑스성분(캡사이신)이 함유된 핫파스는 통증 부위를 따뜻하게 해 혈액순환을 돕고, 진통‧소염 성분이 빠르게 퍼지도록 한다. 따라서 부기가 빠진 후 통증이 계속되거나 만성 관절염‧신경통 등이 있을 때 사용하면 좋다. ◇12시간 이상 붙이지 말아야… 뗀 후에는 손 씻기 파스 사용 시간은 12시간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알레르기가 심해지거나 접촉성 피부염, 화상 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같은 부위에 반복해서 사용해도 안 된다. 이미 파스를 사용한 부위는 피부가 약해진 상태여서 피부에 이상 반응이 생기기 쉽다. 파스를 제거할 땐 파스 주위 피부를 눌러주면서 천천히 제거한다. 한 번에 잡아떼면 피부 표피가 파스와 함께 떨어질 수 있다. 만약 파스가 잘 떨어지지 않는다면 1~2분 정도 물에 불려 떼어내는 게 방법이다. 파스 제거 후에는 손에 파스 성분이 남지 않도록 손을 깨끗이 씻는다. 특히 핫파스의 캡사이신 성분은 피부 모공을 열기도 하고, 점막에 닿으면 통증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자. ◇발진, 가려움 생기면 성분이나 제형 바꿔봐야 간혹 파스를 붙이고 발진, 가려움 등이 생기는 사람들이 있다. 이때는 성분이나 제형을 바꿔보는 게 좋다. 파스 성분은 크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케토프로펜, 록소프로펜, 플루비프로펜, 디클로페낙 등)와 ▲반대자극제(노닐산바닐릴아미드, 캄파, 캡사이신 등)로 나뉜다. 이 중 알레르기 유발 빈도가 높은 성분은 반대자극제 성분이다. 반대자극제란 피부 감각수용체를 자극해 통증을 덜 느끼게 만드는 성분이다. 따라서 파스를 붙일 때마다 피부 이상 반응이 생기면 이 성분을 피하는 것이 좋다. 성분을 바꿔도 이상 반응이 나타난다면 제형을 바꿔보자. 파스 제형으로는 ▲카타플라스마제(습포제) ▲플라스타제(첩부제) 등이 있다. 카타플라스마제는 약을 적신 헝겊을 이용해 염증 치료하는 방식으로, 두툼하고 별도의 밀착포가 나온다. 플라스타제는 통증 부위에 의약품이 바로 도달할 수 있도록 점착시켜 쓰는 제형으로 상대적으로 얇고 접착력도 좋다. 이 중에서 카타플라스마 제형이 피부 자극이 덜하다. 수분이 넉넉하게 포함돼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알레르기 발생한다면 파스 사용을 중단하고 병원을 방문해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파스의 다른 성분 때문이거나, 접착물질 자체에 반응하는 것일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5/31/2024053101739.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관절염, 오십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무릎 말고… ‘이곳’ 관절 망가지면 노년기 삶의 질 저하 (0) | 2024.06.10 |
---|---|
스크랩 아직 젊은데, 걸을 때마다 뒷짐 지는 사람… ‘이곳’ 근력 부족하단 신호 (0) | 2024.06.10 |
스크랩 중장년층의 고민 '퇴행성관절염', 똑똑하게 치료·예방하려면? (0) | 2024.06.04 |
스크랩 오랜만에 운동했더니 무릎 뜨겁고 욱신… 냉찜질 vs 온찜질 (0) | 2024.05.30 |
스크랩 "어깨가 아파요"… 비슷한 듯 다른 어깨질환 3총사 (0) | 2024.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