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가공식품을 소량만 섭취해도 뇌 기능이 떨어지고, 뇌질환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 등 공동 연구진은 45세 이상 중장년층 3만 명을 대상으로 식단이 뇌 질환을 유발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20년간 추적 관찰했다. 실험 참가자의 인종은 백인과 흑인이 각각 절반을 차지했다. 연구진은 참가자가 섭취하는 식단에서 '초가공식품'(Ultra-processed foods)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른 뇌 질환 발생 위험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초가공식품을 가장 많이 섭취한 그룹은 가장 적게 섭취한 그룹보다 뇌졸중 발생 위험이 8%, 인지능력 저하 위험이 16% 증가했다. 생각보다 초가공식품이 뇌에 미치는 영향은 컸는데, 초가공식품 비중을 10%만 높여 섭취해도 인지능력 저하 위험이 커졌다. 초가공식품 섭취량이 늘수록 위험도도 커졌다. 반면 가공되지 않거나 가공이 적게 된 식품을 섭취했을 땐, 뇌졸중 발생 위험은 9%, 인지능력 저하 위험은 12% 감소했다. 연구를 주도한 하버드대 신경학 테일러 킴벌리 교수는 "인지능력 저하는 치매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며 "건강한 식단은 중장년층의 뇌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했다. 초가공식품은 햄버거, 과자, 간편식(인스턴트 식품) 등을 의미한다. 당분과 지방, 나트륨이 대거 들어가 열량이 높고 단백질과 식이섬유는 적은 것이 특징이다. 초가공식품은 뇌 질환뿐 아니라 여러 심혈관·대사 질환도 유발한다. 초가공식품을 섭취해 체중이 증가하면 비만으로 이어지고, 곧 당뇨와 고혈압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실제 여러 연구에서는 초가공식품 섭취가 당뇨 발생 가능성을 40% 높인다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 반면 가공이 적게 된 식품은 신선재료에 소금 등 조미료가 첨가된 식품으로, 냉동 과일과 통조림 음식 등이 있다. 가공되지 않은 식품은 생고기나 우유, 신선한 과일과 채소 등을 뜻한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 지난 22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5/23/2024052302113.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청천고부내
'일반 건강상식 > 식품,차,음료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기름진 음식 먹어 속 더부룩할 땐 탄산음료 말고 ‘이 차’ 드세요 (0) | 2024.05.27 |
---|---|
스크랩 일반 우유 vs 저지방 우유… 차이점은? (0) | 2024.05.26 |
스크랩 화제의 '두바이 초콜릿'… 다이어트식으로 먹으려면? (0) | 2024.05.24 |
스크랩 식지 않는 '제로 열풍'… 고를 때 주의할 점 (0) | 2024.05.23 |
스크랩 마른 김과 조미김, 영양가 차이 있을까? (0) | 2024.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