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등산이 취미인 박모씨(45세)는 따뜻해진 봄철을 맞아 주말마다 근교로 등산을 가곤 했다. 어느 날 발바닥에 오돌토돌하게 하얗고 딱딱한 게 올라온 걸 발견했다. 등산을 하다가 티눈이 생겼나 생각하고 손으로 긁는 등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며칠 후 비슷한 병변들이 두세 개 더 생기더니 손바닥까지 번지며 개수가 늘어났다. 병원을 찾은 박씨는 티눈이 아닌 사마귀를 진단받았다. 바이러스성 피부질환인 사마귀는 사람유두종 바이러스(HPV)가 피부 표면에 감염돼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손과 발에 발생한다.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두피나 얼굴, 몸통 부위 등 전신 피부 어디에나 생길 수 있다. 대부분 1~4mm 크기의 구진들이 표면이 거칠고 튀어나온 모양으로 발생한다. 위치에 따라 표면이 매끈하거나 두께가 납작할 수 있고 간혹 색이 거뭇거뭇할 수도 있다. 사마귀는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질환이지만 옷이나 수건, 신발 등 간접적으로도 전염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증상이 나타났다면 가족 구성원에게 알려 병변과 직접적인 접촉을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면역상태가 건강한 성인은 사마귀와의 직접접촉이 의도치 않게 일어났다 해도 반드시 전염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면역력이 약한 소아나 청소년들은 더욱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고려대 안암병원 피부과 김대현 교수는 "만약 사마귀가 생겼다면 직접 손으로 만지거나 뜯지 말고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라며 “타인에게 옮길 수 있어 사마귀 병변이 다른 사람 피부와 접촉하는 것뿐 아니라 스스로 만지는 것에도 주의하고 평소 스트레스나 면역 관리에 힘써야 한다”고 했다. 바이러스가 피부에 감염된 이후에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로 자라려면 수개월 이상 필요하기 때문에 감염경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육안으로 보면 티눈이나 굳은살 등과 무척 흡사해 초기에 스스로 긁거나 뜯는 등 제거하려고 하다가 악화돼 번지는 경우가 많다. 다른 부위로 옮겨지기 전에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마귀는 피부에 상처가 생기거나 젖어 있는 상태로 오래 있을 때 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 또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을 제때 치료하지 않아 피부 장벽이 손상돼 있거나, 피부 또는 전신면역이 떨어져 있을 경우에도 전염 가능성이 높아진다. 피부가 붉고 가려운 부분이 있다면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 조기에 치료해야 하며, 평소 스트레칭, 조깅과 같은 정기적인 운동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피부를 포함한 신체 면역력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사마귀의 치료 방법으로는 냉동치료, 약물치료, 전기소작법, 레이저치료, 면역요법 등이 있다. 완치율은 60~70%이나 환자의 면역력에 따라 20% 정도는 재발하기도 한다. 완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완치 판정을 받을 때까지 피부과 전문의에게 꾸준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김대현 교수는 “봄철에 일교차가 커지고 땀을 흘릴 일이 많아지며 야외 스포츠를 즐기는 시간이 늘어나 손발에 크고 작은 상처가 생기기도 한다"며 "이 경우 사마귀가 보다 잘 발생하고 옮을 수 있다"고 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4/17/2024041701670.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아토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갑자기 생긴 피부 습진? '이런 약' 먹는지 확인해야 (0) | 2024.04.22 |
---|---|
스크랩 [의학칼럼] 치료 까다로운 얼굴·목·손 아토피피부염, 조기에 염증 잡아야 (0) | 2024.04.21 |
스크랩 건선성치료제‘스카이리치’,손발바닥농포증치료제 적응증 추가 (0) | 2024.04.16 |
스크랩 다이어트가 유발하는 '피부병'… 색소성 양진 아세요? (0) | 2024.04.13 |
스크랩 한국애브비 ‘스카이리치’, 손발바닥 농포증 치료제로 국내 허가 (0) | 202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