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CT 및 조직검사 통해 명확하게 확인해야
2022년, 우리나라 암 사망자 수는 8만3378명이다. 그 중 폐암 사망자 수는 1만8584명으로 약 22.3%를 차지한다. 암환자 4명 중 1명이 폐암으로 인해 목숨을 잃고 있는 셈이다. 최근에는 초기 폐암도 방사선으로 치료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 방사선 수술 후 남은 흉터가 엑스레이 검사 상 재발암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폐암 치료는 1기에서 2기까지는 외과적 절제술, 3기는 방사선 치료, 4기는 항암약물치료를 시행한다. 3기 이상인 상태로 폐암이 진단돼 방사선 치료를 먼저 접하는 환자들이 많다. 최근엔 병기 구분 없이 방사선 치료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경희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공문규 교수는 “최근 1기에서도 방사선 치료인 정위적 방사선 수술이 외과적 절제술과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이 입증돼 폐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행 비율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폐암 방사선 치료는 강한 에너지의 레이저 빔으로 암 세포의 DNA를 파괴시켜 암세포를 사멸시킨다. DNA가 파괴돼 사멸된 암세포들은 체내 면역 반응에 의해 흡수된다. 하지만, 모두 흡수되지는 않고 일부는 섬유조직으로 변형된 채 남아있다. 공문규 교수는 “사멸된 암세포가 변형된 섬유조직은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한 일종의 흉터로 넘어지거나 다쳐 생긴 큰 상처가 아물어도 흉터가 남는 것과 비슷한 이치”라며 “방사선 치료 시작 3개월 후부터 1년 정도까지는 크기가 커질 수 있으나 섬유 조직 내에 살아 있는 암세포는 없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고 말했다. 변형된 섬유조직은 흉부 엑스레이 혹은 CT 촬영 시 불규칙한 경계를 갖는 흰 음영으로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사람에 따라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여 방사선 치료 후 3-4년이 지난 시점까지 흉터조직의 크기가 커지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발 여부 판단에 있어 중요한 감별 기준은 재발암은 CT소견 상 비교적 균일한 경계를 보이는 반면, 흉터 조직은 불규칙한 경계를 보인다는 사실이다. 공문규 교수는 “CT 소견만으로 감별하기 애매모호하다면 PET-CT를 추가로 찍어보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며 “재발암은 PET-CT에서 밝게 보이지만, 흉터조직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감별이 쉽게 가능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재발암이라는 확신이 들더라도 바로 치료를 시행하지 말고, 가능하면 확진을 위해 조직검사 시행을 권고한다. 조직검사 없이 재발로 판단해 치료를 시행했다가 나중에 재발암이 아닌 흉터조직으로 밝혀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재발암 환자에게 시행하는 모든 치료는 필연적으로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4/16/2024041601133.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병원 치료 > 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최첨단 암 치료법, 양성자VS. 중입자… 더 효과적인 것은? (0) | 2024.05.11 |
---|---|
스크랩 암 치료 위한 방사선량 개발에 전문가 머리 맞대 (0) | 2024.04.24 |
스크랩 간암 대상 국소 방사선치료 효과 확인 (0) | 2024.03.24 |
스크랩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최첨단 암치료기 '트루빔' 가동식 개최 (0) | 2024.03.20 |
스크랩 툭하면 엑스레이… 한국인 1년에 의료방사선 7회 검사, 피폭 괜찮나? (0)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