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가공식품이 몸뿐만 아니라 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성인병과 연관 있다고 알려진 초가공식품이 몸뿐만 아니라 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초가공식품이란 감미료, 방부제, 색소 등의 식품 첨가물이 들어있고 가공과 변형이 많이 된 음식을 말한다. 공장에서 바로 먹을 수 있도록 가공해 나온 음식이 대부분으로 ▲햄 ▲소시지 ▲라면 ▲탄산음료 ▲아이스크림 ▲과자 ▲감자튀김 등이 대표적이다. 미국 미시간대 애슐리 기어하트 교수 연구팀은 초가공식품의 중독성과 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8주간 한 그룹에는 지방과 당분이 높은 간식을, 다른 그룹에는 그렇지 않은 간식을 제공했다. 이후 중독 현상과 뇌의 활동 등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지방과 당분이 높은 간식을 먹은 참가자들은 중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생성하는 뇌의 부위에서 활동이 훨씬 활발해진 것이 관찰됐다. 많은 초가공식품이 섭취할 때 뇌를 빠르게 자극해 쾌락, 동기 부여, 학습에 관여하는 보상 체계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이 효과가 사람들이 니코틴, 알코올이나 다른 중독성 약물을 사용할 때와 비슷하다며, 따라서 사람들이 초가공식품을 강하게 갈망하고 강박적으로 섭취하며 먹는 것을 멈출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초가공식품이 생산되는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연구 저자 기어하트 교수는 "초가공식품을 만들기 위해 제조업체들은 재료의 세포 구조를 파괴해 쉽고 빠르게 씹고 먹고 소화할 수 있게 한다"며 "이런 음식의 성분이 뇌에 빠르게 자극을 주고 초가공식품의 중독성이 더 강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초가공식품에는 지방과 정제 탄수화물이 많이 들어 있어 더욱 중독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지방과 당분이 높은 음식을 자주 섭취한 후 패스트푸드점 간판이나 좋아하는 과자의 포장을 보면 더 많은 갈망을 느끼고, 이런 음식을 먹을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초가공식품은 우울증과 수면장애의 위험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호주 디킨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가공식품 섭취량이 많을수록 불안과 일반적인 정신 장애 위험은 48~53%, 수면 장애의 위험은 40∼66%, 우울증 위험은 22% 더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의학저널(BMJ)'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3/15/2024031502613.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일반 건강상식 > 음식&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탱탱한 젊은 피부 유지하려면… ‘이 음식’ 반찬으로 드세요 (0) | 2024.03.21 |
---|---|
스크랩 오래돼서 물러터진 과일, '맛있게' 먹는 법 (0) | 2024.03.20 |
스크랩 라면, ‘이렇게’ 먹으면 나트륨 확 낮춘다 (0) | 2024.03.18 |
스크랩 홍진경, 김밥 고소하게 만드는 비결 ‘이것’ 공개… 효과 어떻길래? (0) | 2024.03.17 |
스크랩 일어날 때마다 눈앞 깜깜… ‘이 음식’으로 증상 없앨 수 있어 (0)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