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지사항

스크랩 부쩍 심해진 구취, 최근 먹은 ‘이 약’ 때문일 수도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4. 2. 21.

고혈압약과 일부 우울증약은 입안을 건조하게 만들어 구취가 심해지게 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양치질을 꼼꼼히 하는데도 입이 메마르고 구취가 심하다면, 매일 먹는 약이 문제일 수 있다. 구취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약으로는 고혈압약과 우울증약이 꼽힌다.

두 약 모두 침 분비량을 줄이므로 복용하면 입 냄새가 심해질 수 있다. 성인의 하루 침 분비량은 보통 1~1.5L다. 침은 음식의 소화를 돕고, 치아 표면에 남아있는 음식 찌꺼기와 세균을 씻어내며, 구강 내에 혐기성 박테리아가 과도하게 증식하는 것을 막는다. 반대로 침 분비가 줄어들면 입안이 건조해져 박테리아가 잘 번식한다. 이에 충치가 잘 생길 뿐 아니라 혐기성 박테리아가 ▲황화수소(H2S) ▲메칠메캅탄(CH3SH) ▲디메칠설파이드(C2H6S) 등 입 냄새 원인 기체를 다량 생성해내게 된다.

고혈압약(베타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등)은 체내 수분이 부족하게 해 침이 잘 나오지 않게 하는 경향이 있다. 고혈압약은 구체적인 성분과 큰 관계 없이 대부분 침 분비를 줄이기 때문에 복용하는 동안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게 최선이다. 항우울제는 침 생산을 촉진하는 아세틸콜린이 침샘 수용체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해 침이 잘 나오지 않게 한다. 특히 이미프라민 성분의 1세대 우울증약을 먹었을 때 입안이 건조해지기 쉽다. 우울증 약을 먹은 후 입이 자꾸 마르고 구취가 심해지면 성분을 바꿔볼 수 있다.

구취를 완화하려면 입안을 촉촉하게 만들어야 한다. 물을 조금씩, 자주 마셔 입안을 전체적으로 적시는 게 도움된다. 레몬, 오렌지 같은 신 과일을 먹는 것도 좋다. 식사할 땐 침이 충분히 분비될 수 있도록 오래 씹는 게 좋다. 구강청결제 사용은 자제한다. 입안이 건조한 사람이 구강청결제를 사용하면 구강청결제 속 알코올 성분으로 인해 입안이 더 건조해질 수 있다.

혀도 꼼꼼히 닦아야 한다. 그러나 혀에 상처가 날 정도로 강하게 닦아선 안 된다. 간혹 혀 표면에 분포하는 돌기인 설유두를 백태로 착각해, 혀클리너로 긁어내는 사람들이 있다. 그럼 설유두 표면이 깎여 생긴 상처에서 나온 진물이 침을 오염시켜 오히려 입 냄새가 심해진다. 입 냄새는 구강 내부가 건강한 침으로 촉촉하게 유지될 때 완화되기 때문이다. 설유두가 많이 분포하는 혀 가운데는 원래 옅은 흰색을 띤다. 그러니 혀를 꼼꼼히 닦은 후에도 혓바닥이 약간 하얀 건 정상이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2/20/2024022002581.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