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국내 독감 환자가 코로나 이후 91배로 폭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19일 발표한 '2018∼2022년 독감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에 따르면 2022년 독감 환자는 87만3590명으로 전년(9574명)보다 91.2배로 늘었다. 2022년 남성 환자는 48만6607명으로 여성(38만6983명)보다 1.3배 많았다. 독감 환자는 2018년 272만3341명, 2019년 177만4635명, 2020년 78만3505명, 2021년 9574명으로 계속 줄다가, 2022년(87만3590명)에 급격히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정우용 교수는 "코로나19로 개인 위생수칙을 준수하고 사회적 이동과 접촉을 제한하면서 독감과 같은 호흡기 감염병 발생이 감소하였다가, 일상회복을 시작하며 병원 등의 감염취약시설을 제외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지고 이동과 접촉이 늘어나며 환자가 증가한 동시에 면역을 획득하는 인구 집단이 줄어들며 감수성이 증가해 독감 환자가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독감 환자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2022년 기준 10대가 39.7%(34만7017명)로 가장 많았고, 9세 이하가 25.8%(22만5727명), 20대가 13.2%(11만5564명)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1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45.7%로 가장 높았고, 9세 이하가 24.8%, 20대가 12.9%를 차지했다. 여성의 경우도 10대가 32.2%, 9세 이하가 27.1%, 20대가 13.7% 순이었다. 정우용 교수는 "주로 학교 또는 학원 등에 모여 단체생활을 하는 학생들의 특성상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쉬워 호흡기 감염병이 쉽게 전파된다"고 말했다.
독감에 걸리면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 등 전신증상과 함께 기침, 인후통과 같은 호흡기증상이 동반된다. 치료는 대증 요법을 기본으로 항바이러스제 투약을 고려한다. 항바이러스제는 주로 뉴라미니다제 억제제(Neuraminidase inhibitor)로 알려진 ①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②페라미비르(Peramivir) ③자나미비르(Zanamivir) 등이 사용된다. 특히 노인이나 영유아, 만성 질환자 등의 고위험군에게서 조기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할 경우 합병증의 발생, 입원 및 사망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알려졌다.
독감 예방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접종이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매년 유행할 것으로 예측되는 독감 바이러스 종류를 A형 2가지, B형 2가지 백신주로 예측하여 백신이 생산된다. 보통은 유행 2주전에 백신을 접종해야 하며, 고위험군에 대한 예방접종은 10월에서 11월에 시행되는 것이 좋다. 다만 시기를 놓쳤을 경우 이후라도 예방접종을 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외에도 손씻기, 기침 에티켓 등 개인 위생수칙을 잘 준수 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1/19/2024011901168.html
'공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어그부츠 80% 할인한다고? 사기 해외쇼핑몰 피해 주의 (0) | 2024.01.27 |
---|---|
스크랩 1년 간 병원 매일 가면 본인부담률 높아진다 (0) | 2024.01.24 |
스크랩 불량 많은 ‘일산화탄소 경보기’… 구매 전 ‘이 인증’ 꼭 확인을 [살아남기] (0) | 2024.01.23 |
스크랩 엔허투·일라리스 보험급여 지연, 제약사 탓?… 해명 나선 심평원 (0) | 2024.01.21 |
스크랩 설 연휴에 병원 문 닫을까 걱정? “비대면 진료받을 수 있습니다" (0)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