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실청에는 당이 많아, 과도하게 섭취하면 안 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속이 더부룩할 때 매실청을 찾는 경우가 있다. 특히 노인들은 매실청을 만능 치료 약으로 생각해 여러 번 물에 타 먹기도 한다. 그러나 매실청에는 당이 많아, 과도하게 섭취하면 안 된다. 오히려 여러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매실청의 적정 섭취량을 알아본다. ◇속 쓰림, 소화 불량 개선에 도움 주는 건 사실… 실제로 매실청은 소화 불량 개선에 도움을 준다. 매실의 피크린산 성분은 몸속 독소를 제거해 배탈이나 식중독 증상을 완화한다. 매실 속 카테킨산 성분 역시 살균 작용을 통해 장의 연동운동을 도와 변비를 해소한다. 구연산도 풍부해, 피로를 풀고 속 쓰림을 한층 누그러뜨린다. 동의보감에도 매실은 ‘갈증과 설사를 멈추게 한다’고 기록됐다. 그러나 매실청이 소화기 질환을 해결할 수 있는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가벼운 배탈이 났을 때 먹는 것은 괜찮을지 모르지만, 계속해서 복통이 이어진다면 내원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하루 두 잔, 당 함량 40~46g… 당 권장섭취량 넘겨 문제는 매실청의 당분이다. 매실청에는 많은 양의 설탕이 들어간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홈메이드 매실청 33종의 당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매실청 100g당 당류는 평균 49.6g이다. 매실청과 물을 1대 4 비율로 희석해 200mL(과일, 채소류 음료의 1회 제공기준량)를 마시면 약 20g의 당을 섭취하게 된다. 두 잔이면 당 함량이 40~46g이 몸에 들어오는 셈이다. 이는 세계보건기구의 일일 당류 섭취 권장량(50g)에 맞먹는 수준이다. 물론 집에서 만든 매실청이 시중에서 판매되는 매실청보단 당 함량이 낮을 순 있으나, 크게 다르지 않다. ◇하루 두 잔 이상은 피하되, 농도는 진하지 않게 당분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당분이 몸 밖으로 제대로 배출되지 않고, 온몸을 돌아다닌다. 이 과정에서 당이 독소로 작용해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당이 지방으로 전환돼 쌓이게 되고, 살이 쉽게 찐다. 당뇨병 환자는 매실청을 조금만 먹어도 혈당이 급격히 오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매실청을 탄 물은 하루 두 잔 이상 마시지 말고, 타 먹을 때도 농도를 너무 진하게 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1/15/2024011502104.html |
출처: 고부내 차가버섯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암치유에 도움 > 항암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하루에 '이 채소' 하나만 먹어도… 고혈압 위험 최대 36% 감소 (0) | 2024.01.21 |
---|---|
스크랩 피망 ‘이렇게’ 먹어야 영양소 파괴 안 된다 (0) | 2024.01.18 |
스크랩 비싼 영양제 필요없다… ‘이 과일’ 하나면 비타민C 보충 끝난다 (0) | 2024.01.17 |
아침 사과는 보약이라는데… 잘못 먹으면 ‘독’ 된다? (0) | 2024.01.15 |
면역력 약하면 독감·코로나19 더 잘 걸린다는데… 홍삼 먹어볼까? (0)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