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국내 연구팀이 전이성 대장암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표지자 'Cetux-probe'를 개발했다.
전이성 대장암의 치료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표적 치료제 세툭시맙(Cetuximab)은 정상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암세포 증식을 차단하는 약물이다. 사람마다 치료 반응이 달라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하고 비용적 부담도 커 치료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돼 왔다.
고려대 안암병원 소화기내과 김은선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류주희 박사 연구팀은 세툭시맙이 암의 발생에 관여하는 EGFR(표피성장인자수용체)에 결합한 후 분해되며 암세포 증식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착안해 'Cetux-probe'을 개발했다. Cetux-probe는 세툭시맙이 분해될 때 형광물질을 내보내도록 설계됐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으로 대장암 세포주에 세툭시맙과 Cetux-probe를 각각 투여하고, 세툭시맙 치료 결과에 대한 Cetux-probe의 형광 강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Cetux-probe의 형광 강도가 클수록 세툭시맙의 치료 효과가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은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Cetux-probe를 통해 대장암 표적치료제에 대한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는 표적 치료제 반응에 따라 환자의 치료 방향을 설정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하고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 'Biomaterials'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1/08/2024010802206.html
'종류별 암 > 대장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기 대장암인데도 대장 절제… ‘림프절 전이’ 위험인자 밝혀져 (0) | 2024.01.15 |
---|---|
스크랩 내시경으로 제거한 대장암, 림프절 전이 위험성 예측 가능해져 (0) | 2024.01.14 |
남성이 여성보다 ‘대장암 발병률’ 2배 높아… 원인은 장 속 ‘이것’ (0) | 2024.01.11 |
대장암 발병률 차이 왜 생기나 했더니 ... “장내 유익균 차이 때문” (0) | 2024.01.11 |
대장암 표적치료제 효과 예측, 이제 걱정 뚝 (0)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