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화기내과 김은선 교수
[헬스코리아뉴스 / 임도이] 국내 연구팀이 대장암 표적 치료제의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표지자(Cetux-probe) 개발에 성공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화기내과 김은선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류주희 박사 연구팀의 공동연구 성과다.
전이성 대장암의 치료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표적 치료제 세툭시맙(Cetuximab)은 정상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암세포의 증식을 차단하는 약물이다. 사람마다 치료 반응이 달라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하고 비용적 부담도 커 치료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어 왔다.
연구팀은 세툭시맙이 암의 발생에 관여하는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표피성장인자수용체)에 결합한 후 분해되며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점에 착안해 ‘Cetux-probe’을 개발했다. ‘Cetux-probe’는 세툭시맙이 분해될 때 형광물질을 내보내도록 설계됐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대장암 세포주에 세툭시맙과 ‘Cetux-probe’를 각각 투여하고, 세툭시맙 치료 결과에 대한 ‘Cetux-probe’의 형광 강도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Cetux-probe’의 형광 강도가 클수록 세툭시맙의 치료 효과가 우월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번 연구는 ‘Cetux-probe’의 형광세기를 통해 세툭시맙의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전이성 대장암 치료에 사용되는 시간과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은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Cetux-probe를 통해 대장암 표적치료제에 대한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는 표적 치료제 반응에 따라 환자의 치료 방향을 설정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하고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Predicting response to anti-EGFR antibody, cetuximab, therapy by monitoring receptor internalization and degradation’라는 제목으로 세계적 학술지 ‘Biomaterials’에 게재됐다.
헬스코리아뉴스 임도이 admin@hkn24.com
- * Copyright ⓒ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코리아뉴스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511883
'종류별 암 > 대장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이 여성보다 ‘대장암 발병률’ 2배 높아… 원인은 장 속 ‘이것’ (0) | 2024.01.11 |
---|---|
대장암 발병률 차이 왜 생기나 했더니 ... “장내 유익균 차이 때문” (0) | 2024.01.11 |
스크랩 메드팩토, 대장암 '백토서팁' 병용요법 美FDA 임상 승인 (0) | 2024.01.05 |
검진서 대장용종 발견… 암일 확률은? (0) | 2024.01.05 |
젊은 대장암 증가하는데… 대장내시경, 남성은 40세부터… 여성은? (0) | 2023.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