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안정제 벤조디아제핀을 임신 중 사용하면 유산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불면증, 불안장애 등에 널리 처방되는 신경안정제 '벤조디아제핀'을 임신 중 사용하면 유산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만 국립대만대 의대 임상약학 연구소의 샤오페이유완 교수 연구팀은 전국 출생신고와 전국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2004~2018년) 자료를 정밀 분석했다. 자료에 포함된 여성은 195만7601명(평균연령 30.61세)으로, 이들의 임신 건수 총 306만7122건 가운데 13만6134건(4.4%)이 유산한 것으로 확인됐다. 벤조디아제핀 사용은 위험 기간인 유산 전 1~28일, 참조 기간인 마지막 월경 전 31~58일과 181~208일 사이에 최소 1번 이상 처방을 받은 경우로 했다. 유산은 임신 8주에서 임신 19주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규정했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임신 중 지속형 벤조디아제핀 사용은 유산 위험이 66%, 속효성 벤조디아제핀 사용은 4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벤조디아제핀 사용과 관련된 유산 위험은 제품별로 차이가 심했다. 플루디아제팜이 2.52배로 가장 높았고 알프라졸람이 39%로 가장 낮았다. 이외에 디아제팜은 69%, 옥사졸람은 54%, 로라제팜은 42% 높았다. 또 처방 용량이 높을수록 유산 위험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낮은 용량은 유산 위험이 61%, 높은 용량은 65%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이는 벤조디아제핀은 가능한 한 최저 용량을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이 결과는 측정 가능한 다른 교란 변수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메디컬센터 정신의학 전문의 크리스티안 비케르스 교수는 이에 대해 임신 중에는 어떤 약을 사용하든 신중해야 하지만, 불안과 심한 불면증도 모태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 의대의 정신의학 전문의 사이먼 웨슬리 교수는 "가장 큰 의문은 벤조디아제핀과 유산 위험 사이에 인과관계가 성립하느냐는 것인데 이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정신의학(JAMA Psychiatry)'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2/29/2023122901162.html |
출처: 암정복 그날까지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공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올해부터 음식 살 때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확인하세요 (0) | 2024.01.07 |
---|---|
스크랩 식약처 "생물학적 제제 등 보관·수송 가이드라인 개정" (0) | 2024.01.05 |
스크랩 먹는 '타미플루'만 알았는데… 독감 치료 주사·흡입제도 있다고 (0) | 2024.01.02 |
스크랩 “약국 차리려면 우리 병원에 돈 내라” 병원지원금 관행 금지법 국회 통과 (0) | 2024.01.02 |
"독감약, 주사제와 먹는약 효과 같아… 주사제 처방 자제해야" (0) | 2023.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