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게시판

스크랩 코로나 때 ‘화장대란’ 재현? 화장장 없어서 4일장 치른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4. 1. 2.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사진=클립아트코리아
코로나 팬데믹 때 화장시설이 부족해 4일장을 치르던 ‘화장대란’이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는 모양새다. 근본적인 원인은 고령화로 인한 사망자수 증가인데 화장시설은 혐오시설로 분류돼 추가 건립이 쉽지 않다. 특히 지역별 편차가 심한데 인구가 밀집된 서울의 화장시설은 두 곳 뿐이다.

지난 28일, 한국장례문화진흥원에 따르면 12월 1일부터 24일까지 전국에서 사망 후 3일 차에 화장한 비율은 63.8%로 집계됐다. 나머지 36.2%는 4일 이상 대기했다가 화장한 것이다. 국내에서 선호되는 장례 절차는 3일장이다. 그러나 국민 10명 중 4명 정도가 4일 이상 장례를 치르고 있다. 

지역별 편차는 더 심한 것으로 확인된다.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화장예약서비스 ‘e하늘’에 따르면 인구가 밀집된 서울의 3일차 화장률은 33.6%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과 별 차이 없는 것으로 보이나 지난달까지만 해도 25.5%였다.

화장장 부족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사망자가 급증하자 나타난 현상이다. 오미크론 변이로 사망자가 급증했던 2022년 3월엔 전국적인 ‘화장대란’이 발생했다. 당시 서울의 3일차 화장률은 5.6%에 그쳤다. 이러한 화장대란은 감염병이 종식됐음에도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모양새다. 서울 등 수도권에선 3일장이 어려워 웃돈을 주고 다른 지역의 화장장으로 이동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다른 지자체 주민에게는 화장 비용이 비싸다.

근본적인 원인은 우리나라가 가파르게 진행되는 ‘다사(多死) 사회’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내 사망률(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사망자 수는 1980년대 이후 2019년까지 20만명대에 머물러왔다. 그러다 2020년 30만4948명으로 30만명대를 돌파한 뒤 2021년(31만7680명), 2022년(37만2800명)까지 증가세가 가파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30년대엔 41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높아지는 화장 수요를 화장시설이 받쳐주지 못하고 있다. 화장장은 혐오시설로 분류돼 입지선정부터 극심한 반대에 부딪힌다. 국회 입법조사처에 따르면 전국 화장시설은 61곳으로 연간 34만6680구를 화장할 수 있다. 지난해 사망자 규모와 비슷하나 인구의 절반 이상이 모인 수도권의 화장시설이 7곳밖에 없다. 서울의 화장시설은 서울시립승화원과 서울추모공원 2곳이 전부다. 경기의 화장시설도 수원과, 성남, 용인, 화성 등 4곳에 불과하다. 인천의 화장시설은 1곳에 그친다.

일부 지자체는 3일장 수요를 맞추기 위해 장사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 양주시는 지난 13일 '장례·화장·안치' 절차를 한 장소에서 치를 수 있는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사업 부지로 백석읍 방성1리를 최종 확정했다. 2027년부턴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도시계획시설 실시계획 인가를 거쳐 2028년 착공할 예정이다. 평택과 포천도 중장기 계획을 통해 화장시설 설립 계획을 세우고 있다.

다만 장례문화를 바꿔야 한다는 시선도 있다. 장례식이 과거의 낡은 형식만 추구하는 바람에 무조건 3일장을 따르고 있는데 유족 상황에 맞게 무빈소, 2일장 등을 장려할 수 있는 문화가 형성돼야 한다는 것이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2/29/2023122901332.html
 

출처: 암정복 그날까지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