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겨울엔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한 딸기가 출하된다. 딸기는 수분이 80~90%로 많은데다 과육 자체도 연하다. 냉장 보관해도 금세 물러지는데, 상했으니 버려야 하는 걸까?
딸기가 물러졌다고 해서 상한 건 아니다. 이는 딸기의 세포벽이 붕괴하며 나타나는 현상으로, 성분에는 큰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딸기는 표피가 약하다 보니 세포벽이 잘 망가진다. 냉장 보관하더라도 빨리 물러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문제가 없는 만큼 깨끗이 씻어 먹으면 되지만, 그래도 마음에 걸린다면 무른 부분만 도려내고 먹도록 한다. 무른 부분만 잘라내 잼이나 생딸기 우유를 만들면 된다.
무른 딸기를 손질하거나 먹지 말고, 즉시 버려야 할 때도 있다. 물러진 딸기에 곰팡이가 피었을 때다. 이럴 땐 곰팡이를 도려낸다고 괜찮지 않다. 딸기 표면에 곰팡이가 생겼다면 이미 내부까지 포자가 퍼졌을 가능성이 크다. 또 딸기는 수분 함량이 높아 곰팡이에 취약하다. 딸기 하나에 핀 곰팡이가 주변 딸기를 다 오염시켰을 수도 있다. 이를 모르고 먹었다간 복통이나 설사 등을 겪을 위험이 있다.
딸기는 될 수 있으면 3일 안에 먹고, 남은 것은 4도 정도에서 냉장 보관한다. 기온이 지나치게 낮은 곳에 보관하면 딸기 고유의 향이 사라질 수 있다. 물로 씻으면 더 빨리 물러지므로 신선도를 오래 유지하려면 씻지 않은 채로 보관한다. 이외에도 딸기 꼭지를 제거하지 않은 채 밀폐 용기에 담아두거나 랩을 씌워 보관하면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한편, 딸기는 원래 초여름이 제철인 과일이지만 이젠 겨울철 딸기가 더 맛있다는 농촌진흥청 분석 결과가 있다. 초여름 딸기는 봄에서 여름이 되며 온도가 높아지는 시기를 거친다. 이 과정에서 당도가 떨어지고 신맛을 내는 유기산 함량이 높아지지만, 겨울철 딸기는 낮은 온도에서 오래 숙성되며 당분이 많이 축적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2/21/2023122101949.html
'암치유에 도움 > 항암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블루베리 잼을 매일 먹은 비행기 조종사, 눈의 변화가… " (0) | 2024.01.02 |
---|---|
마늘 '이곳'에 보관하면 안돼… 독소 발생 위험 (0) | 2023.12.27 |
스크랩 ‘간 해독’해주는 식품… 사과, 마늘, 또? (0) | 2023.12.22 |
스크랩 푸룬은 변비에만 특효? 폐경기 여성 ‘이곳’에도 좋다는 연구 결과 (0) | 2023.12.21 |
스크랩 물에 ‘이 채소’ 담가놓으면, 살균 효과 급증 (0)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