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직일 때 더 심해지는 구토감을 동반한 극심한 어지럼증은 이석증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클립아트코리아
어지럼증이 생기면 대부분 빈혈이나 뇌졸중을 걱정하지만, 어지럼증의 80% 정도는 귀에 원인이 있다. 어지럼증의 원인이 빈혈인 경우는 1~2%, 뇌졸중인 경우는 0.7%라는 국내 연구 결과가 있다. 어지러움을 겪는데 이유를 모르겠다면 일단 이비인후과에 가면 대부분 원인이 나온다. 이비인후과에 가면 눈동자를 관찰하는 안진검사나 청력검사 등으로 원인을 파악한다.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귀 질환과 증상은 아래와 같다.
◇갑자기 극심한 어지럼증: 이석증
이석증은 귀에서 유발되는 어지럼증의 90%를 차지한다. 전정기관에 있어야 할 돌(이석)이 평형기능을 조절하는 세반고리관으로 옮겨 들어가 생긴다. 갑자기 몇 초간 참을 수 없는 어지럼증이 나타나고, 몸을 움직이면 더 심해진다. 구토감이 들기도 한다. 노인이나 여성에게 잘 생긴다. 치료는 이석이 원래 자리로 돌아가도록 고개의 위치를 바꾸면서 시행하는 물리치료인 이석치환술을 받는데, 환자의 90%가 한 번 치료받으면 낫는다.
◇감기 앓고 어지러우면: 전정신경염
감기를 앓고 난 뒤 어지럼증이 생겼다면 전정신경염 가능성이 있다. 내이에 침투한 바이러스가 염증을 유발해 평형기능에 문제가 생긴다. 발병 후 하루이틀은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울 정도로 어지럼증이 심하다가, 서서히 나아지면서 3주 정도 지속된다. 구토감·오한·식은땀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처음 1~2일은 약으로 증상을 조절하고, 그 이후에 전정재활치료를 한다. 전정재활치료는 특정한 곳만 바라보거나 고개를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법으로,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꾸준히 받아야 한다.
◇귀에 물 찬 느낌·청각 이상 동반: 메니에르병
어지럼증과 함께, 귀에 물이 찬 느낌이 들거나 귀가 먹먹해지는 등 청각 이상 증상을 동반하면 메니에르병 가능성이 있다. 빙빙 도는 듯한 현기증이 짧으면 20분에서 길면 하루 정도 지속된다. 신경안정제 계통의 약물을 복용하면 증상이 누그러지는데, 완벽하게 치료할 수는 없다. 약으로 어지럼증을 조절하면서 10~20년 정도 지나면 증상이 서서히 없어진다. 약을 3~6개월 복용해도 변화가 전혀 없으면 고막 안쪽에 항생제를 주입하거나 내이나 전정신경을 절제하는 수술을 할 수도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2/21/2023122101971.html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형따라 잘 걸리는 질환 달라… O형에선 위궤양, A형·B형은? (0) | 2023.12.28 |
---|---|
간질환 발병 위험 가장 높은 음주 패턴은? (0) | 2023.12.26 |
스크랩 한파에도 얼죽아 고수하는 사람, ‘이 병’ 때문일 수도 (0) | 2023.12.25 |
스크랩 매일 쓰는 ‘텀블러’ 안 씻고 그냥 쓰다 병원行… 美 여성 사연 공개 (0) | 2023.12.21 |
스크랩 추워지니 너무 자주 마려운 소변… 참아도 괜찮을까? (0) | 202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