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진도개(천연기념물 등록 품종명) 분변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해, 반려견의 성장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미생물 군집(마이크로바이옴)과 그 기능을 밝혔다. 장내미생물은 숙주와 공생하고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환경, 식이, 성장 발달 등에 따라 변화한다. 면역, 대사성 질환, 치매 등 숙주의 건강과도 관련된다고 알려졌다. 그간 반려견의 장내 미생물 군집에 관한 연구는 성견 위주로 진행됐으며, 국내 품종에 관한 연구 역시 드물었다. 이에 농촌진흥청 연구진은 같은 먹이를 급여한 진도개 4개월령과 16개월령의 분변에서 성장 시기에 따른 개체별 미생물 군집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4개월령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속(屬, genus)을 비롯한 10개 미생물 군집의 비율이 16개월령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락토바실러스의 비율은 4개월령에 전체의 27.1%에서 16개월령에 2.9%로 대폭 감소했다. 락토바실러스는 장내에서 유해균을 막고 지방산의 일종인 공액리놀레산 합성 대사에 관여해 골밀도와 면역 증진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졌다. 16개월령에서 더 많이 분포하는 미생물도 있었다. 박테로이데스 속 등 13개의 미생물 군집은 4개월령보다 16개월령에 더 많았다. 박테로이데스는 탄수화물, 단백질 등 영양소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성장할수록 먹이 섭취량이 늘면서 관련 기능을 하는 미생물의 군집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미생물 군집의 풍부도를 기반으로 주요 기능을 분석한 결과, 4개월령에서는 ‘지질 수송·대사 관련 기능’이, 16개월령에서는 ‘아미노산, 탄수화물 수송·대사 기능’이 두드려졌다. 젖을 뗀 후부터 같은 먹이를 섭취했는데도 불구하고 이런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은 성장 시기에 따라 미생물 군집의 주요 역할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도개 성장 시기에 따른 주요 미생물을 발굴해, 반려견의 성장 단계별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미생물 제제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유전체과 조용민 과장은 “반려동물의 건강에 관련된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이 국제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국산 미생물 제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며 “앞으로도 연구를 거듭해 성장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미생물 자원을 발굴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애니멀스(Animals)’에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2/21/2023122101382.html |
출처: 고부내 차가버섯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마이온리독 My Only D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출산 여파? ‘개모차’가 유모차보다 더 많이 팔려 [멍멍냥냥] (0) | 2023.12.28 |
---|---|
은퇴 검역탐지견, 1월 31일까지 민간 입양자 찾는다[멍멍냥냥] (0) | 2023.12.27 |
스크랩 자다가 혈당 급등한 9살 여아, 반려견 덕분에 구사일생 (0) | 2023.12.21 |
스크랩 네슬레 퓨리나, ‘팬시피스트 미식냥이 체험단’ 모집 [멍멍냥냥] (0) | 2023.12.20 |
스크랩 건국대 수의대 봉사동아리 ‘바이오필리아’, 반려동물문화대상 수상 [멍멍냥냥] (0)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