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쉬어가기

오늘 떡볶이, 초콜릿 당긴다면… 내 마음 상태는?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3. 12. 11.

맵고 단 음식을 먹으면 기분 향상에 도움이 되는 호르몬이 분비돼 스트레스가 잠시 해소될 수 있다. 다만, 의존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스트레스를 받는 날이면 꼭 떡볶이, 닭발 같은 매운 음식이나 달달한 간식이 당기곤 한다. 실제로 먹고 나면 기분이 한결 나아지는 듯한 기분도 든다. 단순한 기분 탓은 아니다. 맵고 단 음식을 먹으면 기분 향상에 도움이 되는 호르몬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우선 매운맛 음식을 먹으면 기분을 좋게 하는 호르몬인 ‘엔도르핀’이 분비된다. 우리 몸엔 고온을 감지하는 수용체 ‘TRPV1’이 있다. 이 수용체가 높은 온도를 감지하면, 뇌는 이를 뜨겁고 위험하다는 신호로 받아들여 엔도르핀을 분비한다. 쾌감을 늘리고 고통을 줄이기 위해서다. ‘TRPV1’ 수용체는 매운맛을 내는 고추·마늘·후추 속 캡사이신, 알리신, 피페린 등의 성분에도 활성화된다. 따라서 매운 음식을 먹으면 고온에 노출되지 않았음에도 엔도르핀이 분비되고, 실제로는 뜨거운 온도에 노출되지 않았으므로 고통 없이 약간의 쾌감만 남는다. 또한 매운 음식을 먹으면 몸의 열기를 땀과 함께 배출시키면서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기분이 든다.

 

힘들 때 달달한 음식을 찾는 것도 호르몬과 관련이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몸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식욕을 돋우고 단 음식을 당기게 만든다. 이때 단 음식을 먹으면 뇌의 쾌락 중추가 자극돼 기분을 좋게 만드는 호르몬인 ‘세로토닌’이 분비된다. 따라서 스트레스가 잠시 해소될 수 있다.

 

다만,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이유로 항상 매운 음식이나 단 음식으로 기분을 해결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다. 이런 음식들로 잠시 쾌감을 얻을 순 있지만, 중독되거나 의존성이 강해질 수 있다. 스트레스가 쌓일 때마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위가 자극돼 위벽이 얇아지고 위염, 위궤양이 생길 위험이 커진다. 피부 질환이 있는 사람이라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돼 혈관이 확장되고 피부 상태가 악화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단 음식들은 대부분 단순당으로 이뤄져 몸에 소화·흡수되는 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혈당이 급격히 올랐다가 떨어지기 쉽고, 반복되면 당뇨병 발생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운동, 명상, 그림 그리기 등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찾는 게 좋다. 매운 음식이나 단 음식을 먹더라도 적정량을 섭취하는 게 중요하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2/06/202312060212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