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에도 무좀이 생길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무좀은 발에만 나타나는 게 아니다. 귀에도 무좀이 생길 수 있다. 무좀의 정확한 정의는 곰팡이 균 감염으로 나타나는 피부 질환이다. 곰팡이 균에도 여러 종류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활발하게 증식한다. 귀 무좀은 의학적으로 외이도(귓바퀴부터 고막까지 잇는 통로)에 곰팡이가 서식하는 '외이도 진균증'이라고 부른다. 외이도 진균증의 정체를 알아본다.
◇귓속 습기, 귀 꽉 막는 이어폰이 원인
외이도 진균증은 외이도 문제 때문에 이비인후과를 찾는 사람의 절반이 이 병을 갖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병이다. 특히 외이도 진균증은 중이염·고막염처럼 귀의 안쪽에 염증이 있는 사람에게 잘 생긴다. 염증 때문에 진물이 나면 귓속이 습해져서 곰팡이가 잘 서식하기 때문이다. 귓속이 습한 상태에서 외이도 진균증이 있는 사람이 썼던 귀이개를 써도 곰팡이가 옮아 병이 생긴다. ▲중이염·고막염 같은 질환이 있거나 ▲귀지가 찐득할 정도로 평소에 귓속이 습한 사람이 귀를 꽉 막는 이어폰을 자주 사용하면 외이도 진균증이 생길 수 있다.
◇가렵고, 먹먹하고, 악취 풍겨
외이도 진균증이 있으면 귀가 가렵고, 귀지가 많이 생기고, 귀가 먹먹하고, 귀에서 냄새가 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귀에서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이때 면봉 등으로 귀지를 자주 파내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귓속에 상처가 생겨 곰팡이가 살기에 더 좋은 환경으로 변할 수 있다.
◇이어폰으로 옮길 수 있어 공유 피해야
증상이 생기면 이비인후과에서 원인 질환(중이염·고막염·습진 등)이 있는지 확인하고, 진균 연고나 요오드액 등을 발라 곰팡이를 없애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 2주 정도 치료하면 낫지만, 재발이 잘 된다. 외이도 진균증을 예방하기 위해선 씻은 뒤에 드라이기 등을 이용해 귓속의 물기를 잘 말리고, 귀를 꽉 막는 이어폰 사용을 삼가며, 귀지를 너무 자주 파지 않도록 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2/07/2023120702447.html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섯 가지만' 지켜도 미세먼지 속 호흡기 보호 가능 (0) | 2023.12.13 |
---|---|
종일 앉아 일한다면… ‘이 자세’ 유지해야 허리 지켜 (0) | 2023.12.11 |
스크랩 목욕 후 시원하게 때 밀기… ‘이런 사람’은 피해야 (0) | 2023.12.10 |
스크랩 입 냄새 나는 사람은 꼭 보세요… 유발 습관 vs 제거 습관 (0) | 2023.12.10 |
스크랩 늘어나는 흰머리… ‘이렇게’ 관리하다간 회춘은커녕 ‘탈모’ 위험 (0)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