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아스텔라스는 19일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파드셉 국내 출시를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한국아스텔라스는 19일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파드셉 국내 출시를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메디칼업저버 손형민 기자] 제한적인 치료 옵션만이 남아있는 요로상피암 3차 치료제 시장에 항체약물접합체(ADC)가 등장했다.
한국아스텔라스는 19일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파드셉(성분명 엔포투맙 베도틴) 국내 출시를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파드셉은 아스텔라스와 시젠이 공동개발한 신약으로, 요로상피암에서 높게 발현되는 세포 표면 단백질인 넥틴-4를 표적하는 ADC 항암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3월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 및 면역항암제(PD-1/PD-L1 억제제) 치료 경험이 있는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성인 환자 치료제로 파드셉을 국내 허가했다.
국내 허가 기반은 EV-301 임상3상 연구다.
임상은 이전에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 및 PD-1/PD-L1 억제제 치료 전력이 있는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 608명을 대상으로, 파드셉군과 시험자 선택 항암화학요법군(도세탁셀 또는 파클리탁셀 또는 빈플루닌)으로 나눠 효능과 안전성을 1:1 비교했다.
1차 목표점은 전체생존(OS), 주요 2차 목표점은 무진행생존(PFS), 전체반응률(ORR), 질병조절율(DCR), 반응지속기간(DOR) 등이었다.
11.1개월 동안 환자를 추적한 결과, 파드셉군의 OS 중앙값은 12.9개월로 항암화학요법이 기록한 9개월 대비 4개월가량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HR 0.70; 95% CI 0.56~0.89; P=0.001).
주요 2차 목표점인 PFS 중앙값은 파드셉군 5.6개월, 항암화학요법군 3.7개월을 나타냈다(HR 0.72; 95% CI 0.51~0.75; P
메디칼업저버 손형민 기자 hmson@monews.co.kr
- * Copyright ⓒ 메디칼업저버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메디칼업저버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97375
'병원 치료 > 항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령 항암신약물질 ‘BR101801’,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0) | 2023.08.09 |
---|---|
'바벤시오주’ 요로상피세포암 1차 단독유지요법에 급여 적용 (0) | 2023.07.26 |
요로상피암 면역항암제 옵션, 경쟁 치열해진다 (0) | 2023.07.17 |
항암제 허셉틴 국내 시장 경쟁 가열 ...삼오제약 합류 (0) | 2023.07.13 |
한미약품, 경구용 항암제 전환 기술 ‘오라스커버리’ 홍콩 기업에 이전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