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일수록 자궁경부암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자궁경부암은 대표적인 부인과 암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5만명 이상 환자가 자궁경부암으로 병원을 찾았다. 20대는 2016년 2606명에서 2020년 3836명으로 약 47% 증가했고, 30대는 2016년 1만1966명에서 2020년 1만3970명으로 16.7%가량 증가했다.
최근에는 대사증후군이 있는 여성일수록 자궁경부 상피세포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비정상적인 자궁경부 상피세포 이상은 자궁경부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로, 계속해서 자궁경부암 유발 바이러스(HPV)에 감염되면 자궁경부 이형성증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이 상태에서 장시간 치료하지 않으면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보라매병원 산부인과 이다용·이택상 교수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7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여성 약 1000만건의 데이터를 무작위 추출해 데이터를 수집했다. 조사 대상은 자궁경부암 진단 검사인 ‘팹 스미어(Pap smear)’ 결과를 토대로 상피세포 이상이 없는 ‘대조군’과 이상이 있는 ‘사례군’으로 분류했다. 대사증후군은 ▲허리둘레 85cm 이상 ▲수축기혈압 130mmHg·이완기혈압 85mmHg 이상 또는 고혈압 진단 후 항고혈압제 사용 ▲중성지방 150mg/dL 이상 또는 이상지질혈증 관련 약물 사용 ▲HDL 콜레스테롤 수치 50mg/dL 미만 ▲공복 혈당 100mg/dL 이상 또는 당뇨 진단 후 약물 사용 등 총 5개 기준 중 3개 이상을 충족하는 경우로 정의했다.
연구 결과, 상피세포 이상이 없는 대조군과 이상이 있는 사례군이 각각 860만6394건, 58만12건으로 확인됐다. 사례군 중 대사증후군 기준을 충족하는 여성의 비율은 21.7%로 대조군(18.4%)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각 대사증후군 요소들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대사증후군 조건을 충족하는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자궁경부 상피세포 이상이 발생할 위험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대사증후군이 지속적인 바이러스 감염을 유발하고 만성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통해 DNA 손상, 세포 이상을 유도하는 등 자궁경부 상피세포 이상과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고 설명했다. 이택상 교수는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대사증후군이 있는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 상피세포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며 “병변을 조기 발견하려면 자궁경부암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 의학저널’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5/23/2023052302123.html
'종류별 암 > 여성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소암 환자 혈액서 추출한 순환종양 DNA 분석…표적치료제 PARP 억제제 내성 기전 확인 (0) | 2023.06.04 |
---|---|
자궁내막암 조기 발견하려면 이 증상 살펴야 (0) | 2023.05.25 |
여성은 꼭 보세요… 20년 새 완전히 달라진 '자궁암' 지도 (0) | 2023.05.21 |
스크랩 예방 가능한 자궁경부암…여전히 여성 5대 암인 이유는? (0) | 2023.05.19 |
2030 자궁내막암 증가세, ‘이 증상’ 나타나면 의심 (0) | 202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