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CT나 엑스레이 등 질병의 조기 발견이나 진단, 치료에 쓰이는 각종 기기는 고해상도 영상 출력을 위해 일정 수준의 방사선을 방출한다. 이로 인해 해당 기기로 진단이나 치료를 받은 환자는 방사선에 피폭된다. 인체 유해성을 우려할 수준일까?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는 방사선이 지나간 자리의 세포가 죽어버리는 ‘세포 사멸’이고, 두 번째는 ‘암 및 유전적 영향’이다. 방사선에 의한 세포 사멸 현상은 한 번에 높은 방사선량에 노출될 때 나타난다. 세포의 DNA 구조는 이중나선구조로 되어 있어 2개의 가닥이 있다. 방사선은 이런 세포 DNA 가닥을 끊어버린다. 세포 사멸은 끊어진 세포 DNA 가닥이, 세포의 증식 과정으로도 보충될 수 없을 때 나타 난다. 세포 사멸 현상은 방사선량이 1000~2000mSv를 초과할 때 나타난다.
DNA 가닥이 끊어진 모든 세포가 사멸하는 것은 아니다. DNA 가닥이 끊어져 한 번에 사멸시킬 정도의 방사선량이 아니라면, 세포들은 이 부위를 빠르게 연결해 회복을 시도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조금씩 변형된 DNA가 세포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런 돌연변이가 인체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영향이 암이다. 우리 몸이 막지 못한 돌연변이 세포의 증식이 바로 암이다. 100mSv 정도의 방사선량에 노출되면, 20~30년 후 암발생률이 0.5%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헬스조선DB
CT나 엑스레이 등 의료기기를 통한 방사선 피폭은 어떤 기기인지와 더불어 어떤 부위를 촬영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신체에 따라 의료 방사선 노출 민감성이 다를 수 있고, 필요한 영상 정밀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가장 흔하게 시행되는 방사선 검사인 가슴 엑스레이의 방사선량은 0.2~0.34mSv다. ▲흉부 CT는 10~15mSv ▲PET-CT(양전자 컴퓨터단층촬영기)는 20~30mSv ▲치과 CT· 엑스레이는 0.011~0.09mSv로 알려져 있다.
사진=헬스조선DB
방사선 의료기기가 암 발병과 전혀 관련이 없다고 말할 수 없지만 두려워할 정도는 아니다. 기준치 이하의 낮은 방사선에 반복돼 노출되더라도 인체에 쌓여 악영향을 미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이유 없는 남발은 피할 필요가 있다. 병원을 옮겨 다니며 동일부위 CT를 한 달 내에 재촬영하는 건 피하는 게 좋다. 나이가 어리거나 임신부의 경우는 방사선 노출에 조금 더 민감할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4/07/2023040702413.html
'병원 치료 > 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세포 정밀 타격 방사선 리간드 치료제 개발 경쟁 ‘후끈’ (0) | 2023.04.29 |
---|---|
명지병원, 최신 방사선 치료기 도입 (0) | 2023.04.14 |
소세포폐암에서 1일 1회 방사선 치료 선량 비교한 연구 눈길 (0) | 2023.04.08 |
스크랩 난치성 암 새 치료의 길 열려···‘중입자치료기’ 국내 첫 허가 (0) | 2023.03.24 |
스크랩 IBS 연구팀, ‘중입자 암 치료’ 치료효과 가로막는 원인물질 규명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