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권영근 교수, 하버드대 하재인 연구원, 대구대 김도향 연구원, 경북대 권진원 교수, 고려대 박성수 교수 (사진=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제공)
[메디컬투데이=이재혁 기자] 위암 수술 후 대부분의 환자들은 급격한 체중 감소를 경험하고 이로 인해 스트레스와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는 가운데, 수술 후 관리를 통한 적당한 체중감소가 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경북대-대구대 비만-당뇨병 연구팀(고려대 권영근 교수, 하버드대 하재인 연구원, 대구대 김도향 연구원, 경북대 권진원 교수, 고려대 박성수 교수)은 국가검진데이터를 활용해 위암 수술 후 체중감소와 이에 따른 2형 당뇨 발생위험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최적의 체중 구간을 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위암수술을 받고 5년 이상 생존한 환자 중 수술 당시 당뇨병력이 없고, 보조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대상자 5618명의 데이터를 분석했으며, 수술 후 3년 간의 체중감소 비율과 2형 당뇨 발생 위험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위암 수술 후 체중 변화가 없는 경우를 기준으로 체중감소가 5% 미만인 경우 2형 당뇨의 위험이 10% 낮아졌으며, 체중감소가 5% 이상 10% 미만인 경우 2형 당뇨의 위험은 32% 감소했다.
특히 수술 후 체중감소가 10% 이상 15% 미만인 환자들의 2형 당뇨 발생 위험은 35%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5% 이상 체중이 감소한 환자들은 2형 당뇨 위험이 11% 낮아지는 것에 그쳐, 체중감소율이 클수록 2형 당뇨의 위험이 낮아지는 것은 아니라 대사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최적의 구간이 있다는 것이 규명됐다.
박성수 교수는 “한국은 세계에서 위암 생존율이 가장 높은 국가이며, 위암 치료 후 기대여명이 길기 때문에, 위암 치료 후의 대사질환관리 및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고 짚었다.
권진원 교수는 “체중이 많이 줄어들수록 대사질환 예방에 좋다는 것이 아니라, 위암 수술 후 체중관리의 최적의 구간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영양관리와 체중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밝힌 값진 연구”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의 논문은 국제학술지 '악액질·근감소·근육저널(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고려대-경북대-대구대 공동연구팀은 위절제수술과 비만당뇨병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는 국내 유일의 다학제 연구팀이다.
메디컬투데이 이재혁 dlwogur93@mdtoday.co.kr
- * Copyright ⓒ 메디컬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메디컬투데이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88854
'병원 치료 > 수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수술 후 림프액 누출, ‘림프관 색전술’ 효과 확인 (0) | 2023.04.15 |
---|---|
연세암병원 최영득 교수, 비뇨기암 로봇수술 6천례 돌파 (0) | 2023.04.13 |
고려대안산병원, 로봇수술 누적 2000례 달성 (0) | 2023.04.01 |
전 세계 흉부외과 의료진, 한국에서 로봇수술 배운다? (0) | 2023.03.27 |
국내 이종 간이식 기술 세계 최고 수준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