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그밖의 중요 질병

올겨울 최강 한파… 가슴에 '이런 통증' 있다면, 협심증 의심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3. 1. 26.

추운 날씨에 가슴 통증이 느껴진다면 심장질환 중 하나인 '협심증'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서울 최저 기온이 영하 18도를 기록하는 등 올겨울 최강 한파가 찾아왔다. 이런 추위 속에서 갑자기 가슴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협심증'일 수 있다.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는 질환이다. 기온이 낮아지면 혈관이 수축하면서 협심증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발견과 치료가 늦으면 자칫 생명을 잃을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협심증 환자는 2018년 66만7456명에서 2021년 70만3749명으로 증가 추세다. 특히 50세 이상 남성에서 발병 비율이 높다.

협심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가슴 통증(흉통)이다.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가슴을 짓누르는 듯하고 ▲가슴이 빠개지며 벌어지는 것 같고 ▲가슴에 고춧가루를 뿌려 놓은 느낌이 들고 ▲숨이 차는 증상이 느껴질 수 있다. 통증은 보통 5~10분 지속되다가 안정을 취하면 사라진다. 협심증이 의심되면 바로 병원을 찾는 게 안전하다. 치료는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다르게 시행된다. 병의 정도가 가볍다면 약물 치료만으로도 흉통 조절이 가능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증상을 조기에 완화시키고 재발을 막기 위해 관상동맥 중재시술(스텐트 삽입술)을 주로 한다. 이 방법은 회복 기간이 짧고 흉터도 남지 않으며 재발률이 10% 미만으로 적어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 시술이 불가능할 정도로 심한 협심증이라면 다른 혈관을 이용해 막혀 있는 관상동맥 부위를 우회하는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한다.​

협심증을 예방하려면 생활습관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협심증의 위험 요인으로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비만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이 꼽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꾸준한 유산소, 근력 운동과 식습관 개선이 필수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1/25/202301250102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