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에 밥을 말아 먹으면 국물 섭취량이 늘어난 탓에 위산이 묽어져 소화 속도가 더뎌진다. 지방과 단백질 소화 효소를 함유한 새우젓으로 간을 하면 소화를 촉진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국에 밥을 마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이런 습관이 위에 부담을 주는 것은 물론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게 할 우려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국에 밥을 말아서 먹은 탓에 밥알과 함께 넘긴 국물의 양이 많으면 소화액이 묽어진다. 이는 음식물이 잘 소화되지 않게 해 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이로 씹어 잘게 부서진 음식물은 식도를 타고 위로 내려간 다음, 소화 효소·위액·담즙 등이 섞인 산성의 소화액에 의해 분해된다. 그러나 국에 밥을 말아 먹으며 다량의 국물이 위로 넘어가면 위산의 희석돼 소화 속도가 더뎌진다. 그 탓에 위 점막이 위산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위에 무리가 간다.
국에 밥을 말아 먹다가 밥을 제대로 씹지 않고 넘기기는 것도 위에는 부담이다. 치아가 잘게 부순 음식물 속 전분을 침 속 소화효소 ‘아밀라아제’가 분해하는 게 소화의 첫 단계인데, 음식물을 제대로 씹지 않고 삼키면 일차 소화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못한 음식물을 위가 곧바로 소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밥을 국에 말면 단기간에 더 많은 양의 음식을 먹게 되는 것도 문제다. 밥을 국에 말아 먹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식사 속도가 2.4분 빠르고, 섭취한 열량은 75g 더 많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밥과 국을 동시에 먹다 보면 나트륨을 과다 섭취할 우려도 있다. 국은 나트륨 함량이 높지만, 밥을 말아 먹으면 짠맛이 중화돼 실제보다 덜 짜게 느껴진다. 국 온도가 뜨거운 탓에 혀의 미각세포가 짠맛을 제대로 감지하기 어려운 탓도 있다. 나트륨 과다 섭취는 고혈압, 심장병, 위암 유발 인자 중 하나다. 나트륨이 많은 국물 섭취량을 될 수 있으면 줄여야 하는 이유다.
국밥을 먹을 땐 국물 대신 건더기 위주로 먹는 게 좋다. 국물에 밥을 말아 먹기보다 밥과 국을 별개의 그릇에 두고 번갈아가며 먹는 게 좋단 뜻이다. 또 음식 온도가 높으면 혀가 짠맛에 둔감해지므로 나트륨을 지나치게 넣을 우려가 있다. 직접 국을 요리해서 먹는 상황이라면 국이 충분히 식은 후에 간을 하는 게 좋다. 간을 할 땐 간장이나 소금 대신 새우젓이 권장된다. 새우젓은 발효식품이라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아제와 단백질 분해효소인 프로테아제가 포함돼있기 때문이다. 국밥을 먹은 후 나트륨 배출을 돕는 영양소인 칼륨이 풍부한 ▲토마토 ▲바나나 ▲시금치 등 채소를 챙겨 먹는 것도 좋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11/30/2022113001962.html
'일반 건강상식 > 음식&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리기름은 과연 '착한 기름'일까'? (0) | 2022.12.07 |
---|---|
감자 ‘이렇게’ 조리해 먹으면, 다이어트에 도움 (0) | 2022.12.05 |
먹으면서 살빼기, ‘이 음식’과 함께라면… (0) | 2022.12.01 |
밥 '이렇게' 먹으면, 체온 급격히 떨어진다 (0) | 2022.12.01 |
추울 땐 '이 맛' 먹어라! (0) | 202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