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채소에 많은 플라보놀 섭취가 기억력 감퇴 속도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과일·채소에 주로 함유돼 있는 플라보놀 섭취량이 많은 사람은 나이 들어도 기억력이 잘 감퇴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러시대의대 연구팀은 치매가 없는 60~100세 961명을 평균 6.9년 추적 관찰했다. 이들은 특정 음식을 얼마나 자주 먹는지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했고, 연구팀은 이들을 식단에 포함된 평균 플라보놀 함량에 따라 다섯 개 그룹으로 나눴다. 그리고 매년 참가자들의 인지력과 기억력을 테스트했다.
그 결과, 플라보놀 섭취량이 가장 많은 그룹은 하루 평균 15mg의 플라보놀을, 가장 적은 그룹은 하루 평균 5mg의 플라보놀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플라보놀 섭취량이 가장 많은 그룹의 인지력과 기억력 테스트 점수는 플라보놀 섭취량이 가장 적은 그룹의 인지력과 기억력 테스트 점수보다 높고, 더 느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플라보놀에는 ▲캠페롤(케일, 콩, 홍차, 시금치, 브로콜리) ▲케르세틴(토마토, 케일, 사과, 홍차) ▲미리세틴(오렌지, 포도주, 토마토) ▲이소람네틴(배, 올리브유, 포도주) 등이 있는데, 이중 캠페롤과 케르세틴 섭취량은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쳤지만 미리세틴과 이소람네틴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대의대는 지난 2020년에도 플라보놀 섭취량 최상위 그룹(하루 평균 15.3g 섭취)은 최하위 그룹(하루 평균 5.3g 섭취)에 비해 치매 발생률이 48% 낮았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연구 저자 토머스 M. 홀란드 교수는 "과일, 채소 섭취는 두뇌 건강을 위해 실천할 수 있는 손쉬운 방법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과학회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11/23/2022112302110.html
'일반 건강상식 > 음식&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은 치킨 전자레인지에 돌려 먹으면 배 아프다? (0) | 2022.11.29 |
---|---|
당근은 기름에 볶고, 마늘은 구워야 건강에 좋아… 양파는? (0) | 2022.11.29 |
스크랩 지끈지끈 두통 유발하는 '이 음식'들 (0) | 2022.11.23 |
스크랩 면역력 높이려면, 돼지고기 '이 부위' 섭취 효과 (0) | 2022.11.23 |
스크랩 심장병 주범 트랜스지방… '이렇게' 조리할 때 만들어진다 (0) | 2022.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