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혈당 측정 어플리케이션./사진=메드트로닉 코리아
단기간 간헐적인 연속혈당 측정도 2형 당뇨병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박철영·문선준, 분당차병원 김경수, 서울아산병원 이우제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20년 3월부터 2021년 11월 사이 강북삼성병원, 분당차병원, 서울아산병원을 방문한 30세 이상 65세 이하의 2형 당뇨병 환자 61명을 대상으로 연속 혈당 측정 효과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무작위로 3개 그룹을 나눠 ▲실시간 연속혈당 측정을 1주일간 사용 ▲실시간 연속혈당 측정을 1주일간 사용 후, 3개월 뒤 1주일간 한 번 더 사용 ▲연속혈당 측정 없이 조절하게 했다.
치료 3개월 후를 비교해보니, 아예 연속혈당 측정 없이 조절한 그룹보다 1주일간 사용했던 그룹은 당화혈색소가 0.6%가 감소했고, 3개월 뒤 1주일간 더 사용했던 그룹은 측정하지 않은 그룹보다 당화혈색소가 0.64% 떨어지며 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치료 6개월까지 살펴보니 당화혈색소 변화는 3개월 간격으로 2회의 실시간 연속혈당 측정을 사용한 그룹에서만 0.68%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시간 연속혈당 측정을 시행한 사람 중, 하루에 1.5회 이상 자가 혈당을 측정한 실험참가자의 결과를 분석했더니, 연속혈당을 측정하지 않은 그룹까지 포함해 모든 그룹에서 당화혈색소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1.5회 미만의 자가 혈당을 측정한 실험참가자는 유의미한 당화혈색소 감소 효과가 없었다.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문선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경구 약제로 조절되지 않는 2형 당뇨병 환자들이 단기간의 실시간 연속혈당 측정을 3개월에 한 번 정도만 사용하더라도 당화혈색소 감소 효과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는 해당 환자들에게 인슐린 치료 시작을 대체할 혈당 관리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전문 학술지인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11/08/2022110801337.html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당뇨 환자 골절 막으려면 ‘이것’ 먹어라 (0) | 2022.11.19 |
---|---|
혈당 오를까 걱정? ‘이 과일’이라면 안심 (0) | 2022.11.15 |
당뇨약 ‘자디앙’, 신장 질환 적응증 확대 박차 (0) | 2022.11.14 |
혈당 낮출 목적이면 ‘이때’ 운동해야 (0) | 2022.11.07 |
고기 먹으면 ‘당뇨’ 위험 낮출까? 높일까? (0) | 2022.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