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건강정보

조금만 먹었는데 배가 부르다?… '이것' 때문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2. 9. 29.

평소보다 절반밖에 먹지 않았는데도 속이 더부룩하고 배가 부른 것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위장이나 소장·대장에 복부팽만이 나타난 것일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평소보다 절반밖에 먹지 않았는데도 속이 더부룩하고 배가 부른 것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위장이나 소장·대장에 복부팽만이 나타난 것일 수 있다.

아랫배가 빵빵하면서 트림, 방귀, 변비, 설사가 동반된다면 소장과 대장에 이상이 있는 것이다. 윗배가 부르고 구역질, 구토, 속 쓰림, 삼킴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위장에 가스가 찼기 때문일 수 있다.

복부팽만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먹었던 음식이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콩처럼 피트산이 많은 음식을 먹으면 위장부터 대장 어디에서나 복부팽만이 나타날 수 있다. 피트산은 다른 음식의 소화를 방해해 가스 생성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양배추, 브로콜리 등 섬유소가 많은 음식은 대장에서 복부팽만을 유발한다. 소화가 매우 느리게 되는 섬유소는 분해되지 않고 장으로 내려가 장 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이때 가스가 생성된다. 특히 소화 효소가 잘 분비되지 않는 사람은 소장에서 채소가 제대로 소화되지 않아 대장에서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 발효된 가스가 많이 생성된다.

생활 습관도 복부팽만을 유발한다. 과식은 위에 부담을 주고, 소화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 복부팽만의 원인이 된다. 껌을 많이 씹어도 씹는 중 공기를 계속 삼켜 위에 가스가 차기 쉽다. 한 자리에 오래 앉아있거나 누워있으면 뱃속에 들어찬 가스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해 소장·대장에 복부팽만이 생길 수 있다. 이 외에도 위염이 있으면 윗배 복부팽만,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있으면 아랫배 복부팽만이 생기기도 한다.

무릎 안기(왼쪽)와 쟁기 자세./사진=헬스조선 DB

증상을 완화하려면 원인을 찾아 식습관이나 생활 습관부터 먼저 개선해야 한다. 함께 복부팽만을 완화해주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효과적인 운동으로는 '무릎 안기'가 있다. 바닥에 누운 뒤 숨을 들이마시면서 손을 무릎 위에 올리고, 숨을 내쉬면서 무릎을 가슴 위로 가져와 팔로 끌어안는다. 이후 무릎을 좌우로 5~10번 정도 흔들거리면서 호흡한다. 아랫배 복부 팽만이 심하다면 '쟁기 자세'도 도움이 된다. 누워서 두 다리를 붙이고 손을 바닥에 댄 뒤, 숨을 들이마시면서 다리를 들어 올리고, 내쉬면서 두 다리를 머리 뒤로 넘겨 발끝이 바닥에 닿게 한다. 2~3분간 자세를 유지하고, 발끝이 바닥에 닿지 않는다면 양손으로 허리를 받치거나 의자에 다리를 걸친다. 이 외에도 걷기, 조깅, 계단 오르기 등 유산소 운동이나 심신을 이완하는 요가 등이 도움이 된다. 피트산이 풍부한 음식을 먹을 땐 레몬 물이나 식초 물에 하루 정도 담가 놓으면 피트산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런 노력에도 복부팽만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소화기 질환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병원을 찾아 검사받아야 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9/22/202209220210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