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기증(어지럼증) 혹은 불균형 증상이 전체 뇌경색의 20%를 차지하는 후순환계(머리 뒷부분 양쪽 척추동맥, 기저동맥 뇌혈관) 뇌경색의 전조증상이 될 수 있으며, 악화 증상으로는 1~3일 이내 의식저하, 편마비, 언어장애 등이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뇌졸중팀(신경과 홍지만·이진수·이성준·김민 교수)은 뇌졸중의 전조 증상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간 발병 4.5시간 이내 응급실에 내원한 후순환계 뇌졸중 환자 228명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228명 중 77명(33.8%)에게서 현기증 혹은 불균형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 23명(30%)이 이후 의식저하, 편마비, 언어장애 등 신경학적 중증 증상을 겪어 응급실로 내원했다. 23명 중 18명(78%)이 1일 이내, 총 20명(87%)이 3일 이내 응급실로 내원했다. 연구팀은 환자들을 ▲현기증과 불균형이 주요 증상 ▲의식저하, 편마비, 언어장애 등 중증 신경학적 증상 동반 ▲재관류치료 프로토콜 중증도에 따라 3개 그룹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랬더니 신경학적 중증 증상 없이 내원한 경우 어지럼, 불균형 증상 여부와 치료 예후는 관련성이 없었다. 오히려 말이 어눌해지는 구음장애가 있을 때 치료 예후가 좋지 않았다. 중증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뇌경색 환자는 정맥내 혈전 용해술(증상 발생 4.5시간 이내 병원 방문 시 가능)과 기계적 혈전 제거술(증상 발생 8시간 이내, 8~24시간 병원 방문 시 선택적 시행 가능) 등으로 신속히 막힌 혈관을 뚫어야 신체적 장애를 남기지 않거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전순환계 뇌경색 환자들은 편마비나 언어장애 등 명확한 증상으로 내원한다. 그러나 후순환계 뇌경색 환자는 어지럼증, 균형 장애, 복시 등 다양한 증상을 보여 신속한 재관류 치료를 적용하는 게 어려웠다. 연구의 교신 저자인 이성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중증 후순환계 뇌졸중과 응급실을 내원하는 흔한 증상인 현기증과 불균형 증상 간의 시간적 연관성과 발생 빈도를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제 1저자인 김민 교수는 “특히 어지럼증 발생 이후 1~3일 이내 의식저하, 편마비, 언어장애 등 중증 증상이 새로 생기면 약 60%에서 재관류 치료가 필요했다”며 “이런 증상을 겪는다면 즉시 재관류 치료가 가능한 큰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5월 국제 학술지 ‘Frontiers in neurology’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6/24/2022062401272.html |
'질병 > 고혈압, 중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부전·뇌졸중 일으키는 '이 질환', 고혈압 영향 커 (0) | 2022.07.09 |
---|---|
막힌 뇌혈관, 뚫을 수 없다면 새로 만든다 (0) | 2022.07.04 |
매일 쓰는 종이컵·프라이팬 속 ‘이것’, 여성 고혈압 주범? (0) | 2022.06.17 |
여름 저혈압 주의보… '이런 증상' 있으면 의심 (0) | 2022.06.17 |
병원만 가면 ‘혈압’ 높은 사람… ‘이것’ 의심 (0) | 2022.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