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립아트코리아당뇨병 환자의 약물 부작용은 줄이고, 혈당 강하 효과는 높이는 당뇨병 치료의 실마리를 찾았다. 종근당의 티아졸리딘디온(TZD) 계열 당뇨병 신약 '듀비에' 저용량 사용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한 연구가 국제 학술지에서 인정을 받은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 분야 국제 학술지인 'DOM(Diabets, Obesity and Metabolism)'에 게재됐다.
종근당은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임상연구에서 '듀비에'의 투여 용량을 반으로 줄였을 때, 약효는 유지하면서도 부작용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부산대병원 등 경남지역 8개 대학병원 공동 연구팀이 진행한 이 연구는 용량에 따른 듀비에의 약효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2018년 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진행됐다.
연구팀은 메트포르민과 DPP-4 억제제 병용요법으로 혈당이 충분히 조절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 179명을 2개 집단으로 나눴다. 대조군에는 기존 용량인 0.5㎎ 듀비에를, 시험군에는 0.25㎎ 듀비에를 24주간 병용 투여하고 당화혈색소(HbA1c) 수치를 비롯해 체중 변화·부종 등 부작용, 지질 수치 및 간 수치 변화를 확인했다.
연구 결과를 보면, 1차 평가변수인 당화혈색소 수치는 저용량 듀비에 투여군이 7.62%(±0.48%)에서 6.87%(±0.54%)로 0.75%p 감소했다. 표준 용량 투여군은 7.70%(±0.58%)에서 6.68%(±0.46%)로 1.02%p 줄어들었다. 두 투여군 간 차이가 '비열등성 마진'인 0.5%를 넘지 않은 것이다. 저용량 투여군과 표준 용량 투여군 사이에 큰 효능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종근당 제공
티아졸리딘디온 계열 치료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인 체중 증가와 부종인데, 저용량 투여군은 표준 투여군보다 이러한 부작용이 드물게 발생했다. 표준 용량 투여군의 체중이 평균 1.36㎏(±2.23㎏) 늘어난 반면 저용량 투여군은 0.50㎏(±1.85㎏)만 늘어 두 투여군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종도 저용량 투여군에서 더 드물게 발생했다. 표준 용량 투여군에서는 부종이 10명의 환자에서 발생했지만, 저용량 투여군에서는 3명의 환자에게서만 나타났다.
지질 수치와 간 수치에서는 두 투여군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저혈당 등 치료 관련 부작용은 표준 용량 투여군에서 더 자주 발생했다.
연구의 교신저자인 부산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인주 교수는 "메트포르민과 DPP-4 억제제 조합에 저용량 듀비에를 추가하면 부작용은 줄이면서도 혈당 강하 효과는 유지하는 것을 확인했다"며 "저용량 듀비에가 제2형 당뇨병 환자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6/22/2022062201174.html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당365] 혈당과 비만… 둘 다 잡는 ‘무적 신약’ 온다 (0) | 2022.07.09 |
---|---|
1형 당뇨환자, 연속혈당검사 8월부터 건강보험 적용 (0) | 2022.07.04 |
당뇨병 환자 시력저하 과정, 국내 연구진이 규명 (0) | 2022.06.30 |
여름철 맨발 외출 피해야 하는 '이 질환' (0) | 2022.06.26 |
2형으로 오해하지만… 합병증·사망 위험 더 큰 ‘이 당뇨’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