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노메드 패스랩 활용 예시
[헬스코리아뉴스 / 이충만] 뷰노의 인공지능 기반 병리 연구 플랫폼 ‘뷰노메드 패스랩’(VUNO Med®-PathLab™)이 간암 예후 및 치료반응 예측에 대한 기술력을 입증해 눈길을 끈다.
뷰노는 3일 ‘뷰노메드 패스랩’이 AI 기반 공간분석 활용해 간암 예후 및 치료반응 예측과 연관성 높은 인자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3일부터 7일까지 개최되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연례 학술대회에 참여하고 인공지능 기반 간암 병리 관련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뷰노메드 패스랩’은 인공지능을 활용해 조직을 악성 세포, 림프구, 정상 조직 등으로 분할하는 모델, 면역세포의 탐지 및 분류를 담당하는 검출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병리 영상을 정교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번 연구는 간암을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병리 연구로, 디지털 병리 데이터와 유전체 및 임상기록 분석을 통해 이미지 기반의 디지털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기 위해 진행됐다.
뷰노 병리 연구팀은 ‘뷰노메드 패스랩’으로 365명의 간암 환자의 조직 슬라이드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암의 경계로부터의 거리를 기준으로 영역을 구분해 영역별로 분석하는 공간분석 기법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 암 영역 주변부의 전체세포 대비 림프구 비율(RLTCC)이 간암 환자의 생존율을 예측하는 데 주요한 변수로 확인됐다. RLTCC가 높은 환자군은 그렇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암 환자의 생존 중앙값(MOS)이 높았으며, 암 항원 표지자 관련 유전자 및 T세포 활성화 관련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다.
뷰노 측에 따르면, 이러한 결과는 RLTCC가 예후 예측을 위한 공간분석 기반 디지털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해당 지표에 대한 면역학적, 유전학적 다양한 해석이 뒷받침될 수 있음을 뜻한다.
정규환 뷰노 CTO는 “이번 연구를 통해 임상현장의 의료진들에게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ASCO 행사에서 선보인 뷰노의 연구 성과와 향후 지속될 미국 최고 임상 기관들과의 공동 연구를 토대로 수준 높은 정밀의료 솔루션을 선보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ASCO(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는 세계 3대 암 학회 중 하나로 세계적인 권위를 보유한 학회로써 매년 150개국 이상 4만여 명의 암 전문의를 비롯해 글로벌 제약사, 헬스케어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해 암 치료와 관련된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발표한다. ASCO 2022는 미국 시카고에서 현지 시간 기준 6월 3일부터 7일까지 진행되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 만에 오프라인 개최된다.
헬스코리아뉴스 이충만 admin@hkn24.com
- * Copyright ⓒ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62368
'종류별 암 > 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B형 간염 환자, 아스피린 장기복용하면 간암 위험 16% ↓ (0) | 2022.07.04 |
---|---|
간암의 전 단계 ‘이 질환’, 증상·예방법은? (0) | 2022.06.17 |
재발한 간암도 복강경 수술할 수 있을까? (0) | 2022.05.26 |
[뜨는 약] 간암도 면역항암제 등장… 치료 판도 바꿀까 (0) | 2022.05.14 |
간이식 환자 간 면역상태 예측하는 아바타 모델 개발 (0) | 2022.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