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고혈압, 중풍

일어나면서 어질… ‘이런 사람’일수록 위험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2. 4. 5.

하체 근육이 약한 사람은 혈액 순환 문제로 인해 기립성 저혈압을 겪을 위험이 높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자리에서 갑작스럽게 일어날 때 어지러웠던 경험이 있다면 ‘기립성저혈압’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기립성저혈압이란 말 그대로 일어날 때 혈압이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하반신에 모여 있던 혈액이 심장이나 뇌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으면서 발생한다.

순간적으로 ‘핑’ 도는 느낌과 함께 눈앞이 캄캄해지며, 두통이나 전신 무력감, 목 뻣뻣함, 소변·​대변이 마려운 느낌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완화되지만, 심한 경우에는 의식을 잃고 쓰러질 수도 있다.

키가 큰 사람의 경우 기립성 저혈압을 겪을 위험이 더욱 높다. 하체부터 심장·뇌까지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하체 근력이 약한 사람 또한 정맥을 압박해 혈액을 심장까지 올려 보내지 못하면서 기립성 저혈압이 생길 수 있다. 이밖에 피로·스트레스·과도한 다이어트로 인해 혈액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혈액을 조절하는 자율신경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발생 가능하며, ▲약물 복용 ▲파킨슨병 ▲다계통위축증 ▲루이소체 치매 ▲아밀로이드증 ▲원발자율신경부전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병원에서는 검사를 통해 기립성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는 뇌 질환이나 당뇨성 말초 신경장애 등 원인 질환을 먼저 파악한다. 이후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를 실시한다. 원인 질환이 없다면 수액공급이 이뤄진다.

기립성 저혈압 예방을 위해서는 갑작스럽게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최대한 천천히 움직이며 일어나고, 장시간 서 있을 경우에는 다리 정맥혈 정체를 막기 위해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는 게 좋다. 또한 평소 염분·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며, 3대 영양소와 비타민, 미네랄을 잘 챙겨먹도록 한다. 술을 마시면 혈관이 확장되기 쉬우므로 음주는 자제하는 것이 좋다. 이밖에도 뜨거운 물로 오래 샤워하는 습관을 삼가고, 약 복용 후 어지럼증이 심해졌다면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운동의 경우 과격한 운동을 피하되, 무리가 되지 않을 정도로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까치발 들기 ▲일어서서 다리 꼬기 ▲의자 위에 한 발 올려놓기 등 하체 힘을 길러주는 자세도 추천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4/01/202204010156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