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 시 심박수(분당)가 84회 이상이면 당뇨병 발생 위험이 3.5배 커지는 것으로 밝혀졌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안정 시 심박수(분당)가 84회 이상이면 당뇨병 발생 위험이 3.5배 커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동신대 운동처방학과 이중철 교수팀이 20세 이상 성인 남녀 6622명을 대상으로 안정 시 심박수와 당뇨병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안정 시 심박수는 운동하지 않은 안정된 상태에서 잰 분당 심장박동 수로. 보통 60∼70회다. 이 교수팀은 안정 시 분당 심박수를 기준으로 네 그룹(1그룹 67회 이하, 2그룹 68∼71회, 3그룹 72∼83회, 4그룹 84회 이상)으로 분류했다. 공복(空腹) 혈당이 126㎎/㎗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판정했다.
분당 심박수가 가장 적은 그룹(1그룹) 대비 3그룹ㆍ4그룹의 당뇨병 발생률은 각각 2.4배ㆍ3.5배였다.
이 교수팀은 논문에서 "교감신경이 활성화해 자율신경계가 균형을 잃으면 안정 시 심박수가 상승할 수 있다"며 "교감신경의 지나친 활성화는 고혈압 위험 증가, 인슐린 감수성 감소로 이어져 제2형(성인형) 당뇨병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정 시 분당 심박수가 84회 이상일 가능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높았다. 60세 이상의 30.6%가 안정 시 심박수 84회 이상이었다. 배우자가 없는 남녀의 안정 시 심박수가 85회 이상일 가능성은 배우자 없는 사람의 1.6배였다.
안정 시 심박수가 84회 이상인 사람의 음주율은 73%, 비만 또는 과체중 비율은 46%였다.
이 교수팀은 논문에서 "안정 시 심박수가 늘어나면 당뇨병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며 "안정 시 심박수는 당뇨병 위험 예측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기존 다수 연구에서 안정 시 심박수의 증가는 심혈관 질환 위험과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안정 시 심박수가 증가할수록 혈중 중성지방ㆍ총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나와 있다. 안정 시 심박수가 10회 증가할 때마다 당뇨병 발생 위험 1.2배씩 커진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됐다.
이 연구 결과(안정 시 심박수와 이상지질혈증 및 당뇨병과의 관련성)는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2/03/2022020300865.html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가 당뇨병… 자녀의 당뇨병 위험도는? (0) | 2022.02.15 |
---|---|
입에서 나는 '이 냄새'… 의외의 당뇨병 신호 (0) | 2022.02.12 |
"당뇨 환자 절반 이상, 실명 검사 안받아" (0) | 2022.02.02 |
[밀당365] 공복으로 높은 산에? 혈당 위험합니다! (0) | 2022.01.27 |
당뇨병 전단계도 비만·고혈압 위험 크다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