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서울대학교 김정호 교수, 연세대학교 김상우 교수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헬스코리아뉴스 / 이지혜] 대장암 면역치료시 돌연변이 수가 면역반응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요인이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장암 면역치료에 대한 반응이 사람마다 다른 원인이 밝혀진 것으로, 면역항암치료 효과에 대한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학교 김정호 교수, 연세대학교 김상우 교수 공동 연구팀은 면역치료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진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대장암에서 실제 면역치료반응이 매우 다양함을 확인하고, 반응성 차이의 원인을 새롭게 찾아냈다.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은 가장 잘 알려진 대장암 면역항암치료의 반응지표다.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이 있으면 암세포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매우 많아져 면역반응이 강하게 일어나는 만큼 면역항암치료의 반응 또한 좋다. 그러나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이 있음에도 면역항암치료의 효과가 나쁜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원인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대장암 조직 73례를 수집하고, 면역조직화학염색과 디지털 이미지 분석기법 등을 통해 종양의 면역미세환경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예상과 다르게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대장암의 면역반응 정도가 매우 다양하며, 일부는 매우 낮은 면역반응을 나타냈다.
세분화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대장암 분류 제안 모식도 [자료=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팀은 면역반응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의 유전자 특성을 찾아내기 위해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GS)를 이용한 생명정보학 분석을 수행해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대장암의 특징으로 알려진 돌연변이 수는 면역반응과 관계가 없음을 알아냈다. 이는 기존의 예상을 완전히 벗어난 결론인 것이다.
점액성 같은 종양의 조직학적 유형과 종양유전자 KRAS의 돌연변이 여부,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신호전달경로(Wnt 및 Notch)의 활성화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대장암을 새롭게 분류하고 치료표적이 될 수 있는 혈관신생 관련 분자와 면역관련 분자 등을 도출했다.
김상우 교수는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양성 대장암의 면역반응 차이를 유전체 수준으로 밝힌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김정호 교수는 “현재 임상적으로 활용되는 표지자들의 한계를 알게 된 만큼 앞으로 찾아낸 복합 지표를 이용해 면역항암치료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는 종양면역학 분야 국제학술지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에 이달 13일 게재됐다.
헬스코리아뉴스 이지혜 admin@hkn24.com
- * Copyright ⓒ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47262
'종류별 암 > 대장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문 보존술 받은 직장암 환자, 바이오피드백 치료 받아야 후유증 줄인다" (0) | 2022.01.12 |
---|---|
전이성 대장암, '방사선 + 항암약물'로 치료 극대화 (0) | 2022.01.02 |
가는 변에 피까지 섞였다면, 당장 내시경 받아야 할까? (0) | 2021.12.26 |
대장암 위험 높이는 '의외의 원인' 2가지 (0) | 2021.12.15 |
직장암 로봇수술, 복강경보다 입원기간 짧고 합병증 적다 (0) | 2021.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