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1~2주 전 백신 접종 먼저 해야
1차라도 수술 1~2주 전에 먼저 접종하는 것이 좋다./연합뉴스 제공
"수술을 앞두고 있는데 코로나 백신 접종해도 되나요?"
코로나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서 이런 고민을 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수술을 앞둔 사람은 백신 접종 스케줄을 어떻게 해야할까?
◇예정된 수술이라면 백신 접종 먼저
개별 수술에 따라 의사 판단이 선행되지만 대체적으로 백신 접종이 우선이다. 1차라도 먼저 접종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고령층이나 만성질환자들은 특히 코로나에 걸리면 위험도가 크므로 백신 접종을 가급적 빨리 하는 것이 이득이 크다. 만약에 수술이 예정돼 있다면 1~2주 전에 백신 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현재 백신 접종 대상자라면 수술 일정을 고려해 백신 접종 예약을 하자.
한양대병원 외과 최동호 교수는 “백신 접종 후 ‘고열’ 등 부작용을 고려해 1~2주 여유를 두고 수술 날짜를 잡는 게 바람직하다"며 "백신 접종으로 인한 고열과 수술 후 감염으로 인한 고열 등 부작용 감별하기 위해 1~2주 간격을 두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종양내과학회에서 마련한 권고안에서도 암 수술이 예정된 암환자들도 코로나19 백신을 먼저 맞으라고 권고한다. 최적의 백신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역시 수술 1~2주 전에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고 최소 몇일이라도 간격을 확보하여 접종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비장 전절제술 예정돼 있다면 2주 전 접종을
만약 면역 체계에 중요한 장기인 ‘비장’ 전절제술이 예정돼 있으면 최소 수술 2주 전에 코로나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 그럴 사정이 안 되면 비장 전절제술을 먼저 하고 회복이 완료된 이후 백신 1차 접종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비장 전절제술을 하면 면역력이 떨어져 폐렴 등 호흡기 감염질환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백신 접종을 먼저 권고하는 것이다.
간이식 등 장기이식 수술이 예정돼 있는 경우도 백신 접종을 먼저 해야 한다. 최동호 교수는 “장기이식 후에는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하는데, 면역억제제를 복용한다고 백신 접종을 못하는 건 아니지만, 수술 후 합병증 위험도 있고 회복 기간도 일정 시간 걸린다”며 “그만큼 백신 접종 시기가 지체될 수 있어 백신 접종을 우선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응급 수술이라면 수술 먼저
응급 수술인 경우에는 수술부터 해야 한다. 응급 수술이라고 하면 복막염, 충수염, 담낭염, 게실염 등의 수술이 대표적이다. 이 때는 먼저 수술을 하고, 회복이 된 후 백신 접종을 해야 한다. 현재 수술을 위해 입원을 하려면 코로나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환자가 PCR 검사를 의무적으로 한다. 최동호 교수는 “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입원이나 진료에 있어서 환자 편의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6/22/2021062201521.html
'병원 치료 > 수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온스, 삼성서울병원에 고집적 초음파 시스템 ‘엑사블레이트 뉴로’ 설치 (0) | 2021.07.10 |
---|---|
수술실 내 CCTV 설치 의무화법 또 보류 (0) | 2021.06.28 |
공공의료기관도 무관심… 수술실 내부 CCTV "0대" (0) | 2021.06.20 |
고려대 안산병원, 척수강 내 약물주입펌프 삽입술 시행 (0) | 2021.06.12 |
고위험 승모판 역류증 환자 ‘마이트라클립’ 시술 효과 (0) | 2021.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