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는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등을 포함하는 대기오염물로, 장기간 떠다니면서 우리 몸에 영향을 미친다./사진=연합뉴스DB
모두가 알고 있듯 흡연은 폐암의 가장 큰 원인이다. 전체 폐암 환자 중 70%는 흡연자이거나 흡연 경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반대로 생각해보면 30%, 즉 폐암 환자 10명 중 3명은 흡연을 하지 않았음에도 폐암을 겪는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여성 폐암환자의 경우, 80% 이상이 흡연 경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국립암센터). 대한폐암학회에서는 ▲간접흡연 ▲연기나 연료 연소물에 의한 실내 공기오염 ▲라돈 노출 ▲기존 폐 질환 등을 비흡연자 폐암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비흡연자 폐암 원인에 대해 알아본다.
대기오염
석면, 라돈가스,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은 폐암을 유발하는 환경적인 원인으로 지목된다. 광산 주변이나 석면공장 인근에서 장기간 대기를 통해 석면을 흡입할 경우 폐암 발생률이 증가할 수 있다. 때문에 정부에서는 ‘환경성 석면피해구제법’에 따라 석면에 의한 폐암 발생에 대해 보상해주고 있기도 하다.
라돈가스는 토양, 암석이나 물 속 라듐이 붕괴돼 발생하는 가스로, 일상생활을 통해 흡입하게 된다. 환기가 되지 않는 지하실, 터널 등에 높은 농도로 분포한 만큼, 이 같은 생활환경에 노출됐다면 자주 환기를 시켜야 한다. 미세먼지는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등을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이다. 10µm(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로 대기에 장기간 떠다니면서 우리 몸에도 영향을 미친다. 현재 국제암연구소에서도 이 같은 대기오염을 폐암유발 물질로 지정하고 있다.
간접흡연
본인 의지와 상관없이 담배연기를 들이마시는 비흡연자들은 간접흡연으로 인해 폐암이 생길 수 있다. 담배 연기에는 흡연자가 내뱉는 ‘주류연’과 담배가 타들어 가는 과정에서 대기 중에 발생하는 ‘부류연’이 있다. 간접흡연 때 주로 흡입하는 부류연에는 니코틴(3~5배), 타르(3.5배), 일산화탄소(5배) 등 독성물질이 주류연보다 더 많이 들어 있다. 간접흡연이 폐암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은 이미 20~30년 전부터 수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연구에 따르면 하루에 20개 이상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와 함께 사는 비흡연 여성은 비흡연 남성과 사는 여성에 비해 폐암 발생 위험이 두 배 이상 높았다.
직업적 특성
업무 특성상 중금속, 매연 등에 자주 노출된 사람 역시 폐암 발생 위험이 높을 수 있다. 석재를 다듬는 작업의 경우, 작업 중 발생하는 결정형 유리규산, 중금속, 다핵방향족탄화수소를 포함한 연기 등에 노출되기 쉽다. ▲알루미늄 생산 ▲코크스 생산 ▲주물업 ▲도장작업 ▲용접작업 ▲고무 생산 작업 ▲지하 채광 작업 등에 종사하는 사람도 다른 사람에 비해 폐암발생이 위험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밖에 석면실, 석면옷감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환경적인 발암물질로 알려진 석면이 생겨 직업성 폐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 같은 직업·산업에 종사하고 있다면 주기적인 근로자 건강진단을 받고, 작업 중에는 반드시 호흡기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기존 폐질환
기존에 폐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도 흡연 여부와 관계없이 폐암에 걸릴 수 있다. 폐렴, 폐결핵, 만성폐쇄성폐질환 등이 대표적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미세먼지처럼 유해한 입자나 가스 노출, 대기오염 등에 의해 숨길이 좁아지고 허파꽈리가 파괴돼, 공기의 체내 출입이 어려워지는 만성염증성 폐질환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있을 경우 폐암 발병 위험이 2~3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전적 요인
높은 빈도는 아니지만 유전적 요인 또한 폐암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직계가족에게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2배가량 높아지며, 사촌은 30%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가족력에 의한 폐암은 주로 비소세포암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가족력이 있음에도 흡연을 하거나 위험한 환경에 자주 노출된다면 폐암 확률이 더욱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3/17/2021031702560.html
'종류별 암 > 폐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암으로 아버지 돌아가셨는데… 유전 가능성은? (0) | 2021.05.08 |
---|---|
인체 축적 독성물질 폐암 발생위험 높여 (0) | 2021.03.20 |
타그리소, 비소세포폐암 수술 후 보조요법 적응증 획득 (0) | 2021.02.27 |
강동경희대병원, 폐암 환자 대상 항암제&한약 병용 효과 연구 진행 (0) | 2021.02.01 |
'내 폐는 건강할까?' 손가락 테스트 해보세요 (0) | 202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