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음식물찌꺼기와 항상 닿는 수세미에는 많은 세균이 번식하고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설거지할 때 사용하는 수세미에는 많은 세균이 번식하고 있다. 설거지 후 물로 씻어 보관한다고 해도, 이후에 설거지를 하면서 물, 음식물 찌꺼기 등과 계속해서 닿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 발표에 따르면, 수세미는 집에서 사용하는 물건 중 황색포도상구균(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이 장난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세균 번식을 막기 위해서는 수세미를 언제 교체하고 어떻게 소독해 사용해야 할까. 수세미 관리법에 대해 알아본다.
수세미 교체 주기는 한 달이 적당하다. 그러나 주기적으로 소독해 사용한다면 한 달보다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살균을 위해서는 수세미를 물에 담근 후 전자레인지에 2분 이상 돌리면 된다. 해외 연구 결과 수세미를 전자레인지에 돌린 후 2분 만에 세균이 99% 이상 죽었으며, 대장균 또한 30초 만에 사라졌다. 다만,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 수세미는 전자파를 반사해 불꽃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안 된다. 스테인리스 재질의 수세미는 100도 이상 끓는 물에 10분 정도 삶아내면 소독 효과를 볼 수 있다.
아크릴·면 소재 수세미는 물에 베이킹소다와 식초를 섞어 소독하도록 한다. 물과 베이킹소다, 식초를 각각 1대 1대 1 비율로 섞은 후, 소독할 수세미와 함께 비닐봉지에 넣고 주무르기만 하면 된다. 소독이 끝난 수세미는 반드시 물에 헹궈 사용해야 한다. 이 방법은 칫솔, 행주를 소독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수세미 소독은 일주일에 한 번씩 하면 좋다. 소독 후에는 세균 번식을 막기 위해 통풍이 잘되는 곳에 말려야 한다. 평소 수세미 사용 후에도 마찬가지다.
한편, 수세미를 구매할 때는 두께가 얇은 수세미를 선택하는 게 좋다. 두께가 얇은 수세미는 건조가 빠른 만큼, 세균 번식이 적기 때문이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1/22/2021012202050.html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 마시면 왜 기분 좋을까? 식욕 높이는 이유는? (0) | 2021.02.01 |
---|---|
구강청결제 매일 쓰는데 ‘입 냄새’ 나는 이유 (0) | 2021.01.30 |
과음해도 다음날 ‘멀쩡’… 사람마다 다른 알코올 분해 능력 확인법 (0) | 2021.01.22 |
산에서 손 얼었을 땐 녹이지 말고 그대로 병원으로 (0) | 2021.01.14 |
'정자 왕' 되는 두 가지 방법 (0) | 2021.01.07 |